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중국의 반도체 굴기 추진, 목표 달성 요원해…‘내실 다지기 계속’
조해진 기자|jhj@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중국의 반도체 굴기 추진, 목표 달성 요원해…‘내실 다지기 계속’

中, 반도체 최대 소비국…외국계 기업에 대한 의존도 여전히 높아

기사입력 2019-05-27 12:15:0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중국은 세계 최대의 반도체 시장이다. 그러나 미국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절반에 달하는 등 외국계 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이에 정부 주도로 반도체 굴기 추진을 본격화하며 자급률 제고에 주력했으나, 당초의 목표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KDB미래전략연구소의 ‘중국의 반도체 굴기 추진과 향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반도체 매출 중 중국 내에서 소비되는 비중은 2017년을 기준으로 32%, 규모가 1천320억 달러로 세계 최대 수준이다.

그러나 중국 내 반도체 시장에서 미국계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50.5%로 반도체 공급 측면에서 중국의 위상은 높지 않다. 또한 중국의 반도체 산업은 미국뿐만 아니라 대만과 한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도 높은 편이다. 특히 집적회로 부분에서 대만과 한국 양국에 대한 비중이 약 70%에 달한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 추진, 목표 달성 요원해…‘내실 다지기 계속’

이에 중국 정부는 2014년 ‘반도체 산업 발전 추진 요강’을 발표하고 관련 투자펀드를 조성하며 반도체 굴기 추진을 본격화했다. 추진 목표는 2020년까지 글로벌 수준과의 격차를 축소하고, 2030년까지 중국 반도체 일부 기업을 선두 대열에 포진시키는 것이다.

이어 중국 정부는 2015년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 목표를 2020년 40%, 2025년까지 70%로 설정한 후 반도체 관련 기술표준을 재정비하고 반도체 기업에 대한 법인세 감면 혜택을 부여하는 등 정책 지원을 강화했다.

이에 2018년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은 2014년의 2배 이상으로 확대됐지만, 급증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중국 내 반도체 소비 대비 생산 비율로 추산한 자급률은 2014년 12.7%에서 2018년 15.4%로 상승하는데 그쳤고, 2023년에는 20.5%에 불과할 것으로 추정돼 ‘중국제조 2025’를 통해 제시된 목표 달성은 요원해졌다.

더욱이 중국 내 반도체 생산 증가는 중국기업은 물론 다국적 기업의 현지 생산 확대를 통해 이뤄지고 있어, 중국 반도체 산업이 외자기업에 대한 의존적 구조에서 완전히 탈피할 가능성도 높지 않다.

삼성전자는 2018년 상반기 시안 반도체 2공장 증설을 착공했으며, SK하이닉스는 하반기 장쑤성 우시에 200mm 웨이퍼 아날로그 파운드리 공장을 착공했다. 대만의 팍스콘도 2016년 인수한 샤프사, 광둥성 주하이시와 합작회사를 설립해 2020년부터 9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한편, 중국 반도체 업계는 기술 확보를 위해 미국을 비롯한 해외기업 M&A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기업의 미국 반도체 기업 인수 불허는 물론이고, 국가안보위협 등을 사유로 중국기업에 대한 자국산 반도체 제품과 장비 공급도 제한했다.

이에 대해 KDB미래전략연구소 이은영 연구원은 “미국의 공세는 역설적으로 중국 측에 반도체 굴기의 필요성을 더욱 각인시키는 촉매제가 될 소지가 있다”면서 “중국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해외 핵심 기술인력을 영입하고 중국 반도체 산업의 내실을 다지는 노력을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 메모리 D램 분야의 경우 경험이 풍부한 한국 기술인력의 영입 시도가 집중될 소지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향후 중국은 차량용 시스템 반도체 등 새로운 분야를 주요 공략 대상으로 삼을 전망이다. 앞서 화웨이는 2019년 4월 자회사 HiSilicon이 개발한 통신칩을 기반으로 한 세계 최초 차량용 5G 통신 하드웨어를 공개했다. 인터넷 기업인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인공지능 반도체 등 새로운 반도체 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 및 신경망 칩 등 자체 개발을 하며 중국의 반도체 산업의 내실을 다지고 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전시회와 기업의 발전 양상을 꼼꼼히 살피며 현장의 목소리를 듣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