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경유철도차량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 기준 신설, 대기환경보전법 개정 시행
김인환 기자|kih271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경유철도차량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 기준 신설, 대기환경보전법 개정 시행

기사입력 2019-06-26 16:25:5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경유철도차량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 기준 신설, 대기환경보전법 개정 시행
경유철도차량(디젤기관차)와 전기철도차량(KTX 등)

[산업일보]
미세먼지 관리 사각지대에 있던 ‘경유철도차량’ 배출기준 신설 등을 담은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안이 27일부터 시행된다.

환경부는 이번 ‘대기법’ 시행규칙 개정은 지난 2017년 9월 26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의 이행과제 중 하나로 추진된 것이라고 밝혔다. 배출허용기준 신설의 근거가 되는 ‘대기법’이 지난해 12월 27일 국회에서 통과된 바 있다.

구체적 배출허용기준을 규정하는 대기법 시행규칙 개정안은 지난 1월 10일 입법예고 됐으며, 관계부처 의견조회, 규제심사 등을 거쳤다. 이번 시행하는 대기법 시행규칙 개정안에 따라, 향후 국내에 새로 제작되거나 수입되는 경유철도차량은 신설되는 배출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현재 경유철도차량은 전기철도차량이 다닐 수 없는 비전철(電鐵)화 구간 등에서 여객 및 화물을 운송하고 있다. 올해 1월 기준으로 국내에 총 348대가 운행 중이다. 경유철도차량은 1대 당 미세먼지(PM2.5) 배출량이 경유차의 약 850배에 달함에도, 건설기계·선박 등과 달리 배출허용기준이 없어 관리 사각지대에 있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그러나 향후에는 유럽 등 선진국 수준의 환경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노후경유철도차량 1대를 신설되는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하는 신규경유철도차량으로 교체할 경우, 1대당 연간 1천200kg 상당(경유차 300대 분)의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민 환경부 교통환경과장은 “정부는 관리 사각지대에 있던 경유철도차량에 대해 배출허용기준 신설을 완료하는 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며, “향후 건설기계, 선박 등 비도로 수송분야 미세먼지 배출원에 대해 관리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현장의 생생함을 그대로 전달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