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모로코 탕헤르 제2신항, 현대식 항만시설 확충…무역 허브 ‘발돋움’
조해진 기자|jhj@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모로코 탕헤르 제2신항, 현대식 항만시설 확충…무역 허브 ‘발돋움’

韓 기업, 아프리카 미개척 시장 전초기지로 모로코 고려해야

기사입력 2019-07-26 09:03:5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모로코 탕헤르 제2신항, 현대식 항만시설 확충…무역 허브 ‘발돋움’

[산업일보]
아프리카 대륙이 자유무역협정(AfCFTA)을 출범시켜 실질적인 가동단계에 진입했다. 협정 발효 시 역내 교역이 향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모로코가 현대식 항만시설을 확충하며 유럽과 아프리카를 잇는 대표 산업 항구로 발돋움을 하고 있다.

KOTRA의 ‘모로코, 현대식 항만시설 확충으로 외국인 투자 더 끌어들인다’ 보고서에 따르면, 7월 모로코 북부의 탕헤르에 제2신항이 개항됐다. 이로써 기존 탕헤르 제1항과 함께 총 900만 TEU의 물동량 처리가 가능해졌다.

2개의 신규 터미널 중 TC4(500만 TEU)는 세계적인 해운사인 머스크가 운영하고, TC3(100만 TEU)는 모로코 대표 해운사인 Marsa Maroc에서 운영할 예정으로, 지중해 및 아프리카 항구 중 가장 큰 물동량 처리능력을 자랑해 전 세계 20대 항만시설로 발돋움했다.

탕헤르는 모로코 제1의 산업단지인 탕제에서 서쪽으로 약 50km인 모로코 북부, 지브롤터 해협에 위치해 유럽과 아프리카, 지중해와 대서양을 잇는 지리적 요충지다. 최근에는 탕제지역을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이 크게 발전해 유럽 등 대상 수출입 물량이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또한 2019년 4월, 글로벌 배송업체인 DHL은 아프리카와 유럽의 물류 허브 설립을 위해 탕헤르와 계약을 체결했고, 6월에는 PSA 인근 케니트라 지역에 약 20만 대 규모의 자동차 공장설립 착공식을 하는 등 외국기업의 투자가 잇따르고 있다.

지리적인 이점과 전 세계 55개국과의 FTA 체결, 낮은 인건비 등을 바탕으로 모로코에는 외국인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18년에는 전년 대비 36% 증가한 36억 달러의 투자를 받아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콩고에 이어 아프리카 4위를 차지했다.

분야별로는 금융이 전체 1위를 차지했고, 부동산과 제조업, 에너지 및 광업 등의 순서로 외국인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자동차와 식품 산업 분야가 주요 타깃인데, 모로코 자동차협회는 Machining, Window lifter, Extrusion 등 자동차 인프라 전반에 있어 원재료, 반제품 등 외투기업 유치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한국 자동차부품 업체의 많은 관심을 요청하기도 했다.

KOTRA의 나범근 무역관은 “AfCFTA는 역내 상품 90%에 대한 관세를 단계적으로 없앤 뒤 전면 철폐를 목표로 한다”면서 “현재 15% 수준에 불과한 아프리카 역내 교역이 향후에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수출시장 다변화 및 미개척 시장진입을 위해 아프리카 전역에 대한 투자와 교역이 활발한 모로코를 전초기지로 삼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전시회와 기업의 발전 양상을 꼼꼼히 살피며 현장의 목소리를 듣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