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이 코로나19 중·후기 및 포스트 코로나 대응방안을 마련해 민생·기업·산업의 충격 완화 및 진흥, 미래 경제·산업 발전 촉진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하 KIEP)에서 발표한 ‘대만의 포스트 코로나 대응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의 대표적 방역 모범사례로 꼽히는 대만은 초기의 방역조치 효과에 힘입어, 코로나19의 장기화 및 사태 종료 이후 대만 경제·산업의 회복과 발전을 위한 대응방안 논의와 대책 모색을 조기에 시작했다.
코로나19 유입 초기 대만은 ▲출입국 관리 및 통제 ▲ICT 기술 활용 ▲방역물자 관리 ▲지침위반 규정 강화 등에 초점을 맞춘 신속한 대응조치를 통해 질병의 확산을 억제하고 경제 충격을 최소화했다.
이에 도시봉쇄 및 이동제한, 대규모 공장가동 중단 등의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아 생산 및 수출이 양호한 실적을 기록하며 내수 부진에 의한 경제 충격을 일부 상쇄했다.
대만의 효과적인 초기 대응은 체계화된 전염병 관리·통제 시스템과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정부의 정책 결정 및 조치 시행이 거둔 성과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대만의 초기 방역 성공은 인력 및 산업, 기업의 체질 개선과 경쟁력 제고 등 중장기 전략을 포함한 포스트 코로나 대응조치 및 전략 추진의 여력 확보로 연결됐다.
코로나19 사태 중·후반기 대만정부는 민생 안정, 고용 안정, 산업 진흥, 리쇼어링 지원을 통해 기업, 사회, 산업에 대한 충격 완화와 진흥 발전에 중점을 둔 대응방안을 시행했다.
대만은 외부의 불확실성과 충격에 대한 대응방안의 모색과 동시에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산업 생태계 변화 속에서의 경쟁력 확보 및 우위 선점을 위한 포스트 코로나 발전 대책을 구축했다.
KIEP 관계자는 보고서를 통해 ‘초기 방역의 효율성 제고와 선제적 대응의 기반 강화를 위해 대만의 지침 위반자 처벌, 방역물자 관리, ICT 기술 활용의 관리시스템 구축 등에 대한 보완과 정비조치는 참고해볼 가치가 있다’며 ‘포스트 코로나 경제·산업 정책에 힘입어 향후 발전이 예상되는 산업 및 사업 분야를 중심으로 한·대만 협력 강화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