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수출기업 코로나19 위기극복, AEO 활용
박시환 기자|psh@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수출기업 코로나19 위기극복, AEO 활용

해외 수입검사 평균 78.4%, 통관소요시간 83.7% 축소

기사입력 2020-06-19 17:21:41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AEO(수출입안전관리우수업체) 기업인 D사가 최근 인도로 수출한 물품의 통관이 무기한 연기됐다. 코로나19로 인한 인도 정부의 봉쇄령 때문이다. 결국 D사는 체선료, 컨테이너 보관료 등 예상하지 못한 비용으로 한동안 골머리를 앓았다. 관세청은 국내 모든 AEO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해외통관애로를 파악해 D사의 어려움을 확인한 후, 인도 관세청의 세관연락관을 통해 인도 세관 당국에 D사 화물의 우선통관을 요청했고, 현지에 파견된 관세청 관세관도 해결을 지원했다. 그 결과, 통관이 지연됐던 D사 수출물품은 신속하게 통관돼 손실예상금액 약 37만 달러(한화 4억4천만 원)를 절감했다.


관세청이 코로나19로 해외통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기업들에게 AEO 제도를 적극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관세청은 주요 교역국과 AEO MRA를 체결해 AEO 기업의 수출을 지원하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AEO 기업은 MRA 체결국으로 수출 시 현지 수입 검사율 완화, 우선 통관 등 다양한 통관 혜택을 누릴 수 있다. AEO MRA(상호인정약정, AEO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는 자국에서 인정한 AEO 업체를 상대국에서도 인정하고 상호 합의한 세관절차상 혜택을 제공하는 관세당국 간 약정을 의미한다.

관세청이 MRA 체결국과의 2019년도 검사율 및 통관소요시간을 분석한 결과, AEO 기업의 검사율은 비AEO 기업의 검사율 대비 평균 78.4%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EO 기업의 통관소요시간은 비AEO 기업 대비 평균 83.7%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AEO 제도를 활용할 경우 물류비용이 감소하고, 신속하게 통관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한국은 미국, 중국 등 22개국과 MRA를 체결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AEO MRA를 체결한 국가이며, 앞으로도 러시아, 베트남 등으로 체결국을 더욱 늘려나갈 계획이다. AEO 인증 취득에 관심이 있는 기업이나 수출입 통관과 관련해 어려움을 겪고 있어 관세청의 지원이 필요한 기업은 지역별 세관을 통해 안내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