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는 배전제한 등 전력난과 최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배터리를 활용한 에너지 저장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KDB미래전략연구소 한반도신경제센터에서 발표한 ‘북한의 배터리 이용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만성적 전력부족에 따른 전력 공급시간 제한으로 기업소와 가정에서 축전(蓄電)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한정된 발전량을 평양·군 주둔지 등 핵심지역에 공급하기 위해 이외지역에는 특정시간에만 제한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북한은 전력난 타개를 위해 ‘자연에네르기법’ 제정 등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추진 중이다. 2013년 제정된 자연에네르기법은 태양광·풍력·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이용을 장려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안정적 발전량을 기대하기 어려운 신재생에너지의 특성 고려해 북한에서는 전력 저장을 위한 배터리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북한의 기관·기업소는 배터리를 주로 단전에 대비해 조명설비 등 저부하 전력시설 가동용으로 사용 중이며, 최근에는 관광용 전기카트, 태양광 가로등 등에도 활용하고 있다.
가정에서는 자가보유 태양전지로 발전한 전력이나 국가 전력망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축전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하고 있다.
북한에서 태양전지는 경제력 있는 세대에서 통상 사용하고 있으며, 전체 세대의 50% 정도에 보급된 것으로 KDB미래전략연구소 측은 추정했다.
북한 내 배터리는 주로 중국으로부터 수입돼 유통되며, 일부 자체 생산한 배터리는 국영 유통망을 통해 기업소 등에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산공장은 러시아의 지원으로 1982년 건립된 대동강축전지공장이 대표적이며, 각 지역에 소규모 공장이 산재해 있다. 이곳에서는 주로 저효율 납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으며, 고효율 리튬이온 배터리는 중국산 중간재를 가공·조립한 수준이라는 게 KDB미래전략연구소의 주장이다.
한편, 2017년 배터리 및 관련 원자재를 대북수출 금지품목으로 지정하는 UN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로 배터리의 수입과 자체 생산 모두 차질 발생했다. 구체적인 금지품목은 배터리, 납·니켈·알루미늄 등으로, 배터리와 원자재 및 관련제품 모두 제재대상에 포함된다.
KDB미래전략연구소 관계자는 보고서를 통해 ‘배터리를 포함한 북한의 전자제품 대중 수입금액은 2017년 9천4백만 달러에서 2019년 10만 달러로 급감했다’며 ‘원자재 수급의 어려움으로 대표적 생산공장인 대동강축전지공장도 2018년말 가동이 중단되는 등 자체 생산에 난항이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