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올해 –1.1%의 역성장을 기록한 후, 2021년에는 상품수출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내수 회복이 제한되면서 3.1%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이하 KDI)이 최근 발표한 ‘KDI 경제전망, 2020 하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2020~2021년 연평균 성장률이 1%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 경제는 내년에도 여전히 정상 성장경로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소비는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인한 소비활동 위축이 이어지면서 올해(-4.3%)에 큰 폭으로 감소한 데 따른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2.4% 증가하는 데 그칠 전망이다.
설비투자는 상품수출 개선에 따른 제조업의 회복으로 올해(6%)의 양호한 흐름이 지속되며 4.7% 증가할 것으로 보이고, 건설투자는 토목부문의 양호한 증가세가 지속되며 주택건설의 부진도 완화되면서 2021년에는 올해(0%)보다 높은 2%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의 경우 세계경제의 회복과 함께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면서 상품부문을 중심으로 3.1% 증가할 전망이며, 경상수지는 교역조건이 악화되는 가운데 내구재소비와 설비투자의 수요 증가에 따른 수입 확대로 올해(624억 달러)보다 감소한 579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물가는 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기대인플레이션과 수요 압력이 낮은 수준에 머물면서 2020년(0.5%)에 이어 0.7%의 낮은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서비스업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취업자 수는 올해(-17만 명)의 감소에 이어 10만 명 정도의 소폭 증가에 그칠 전망이고, 실업률은 경제활동참가율이 상승하면서 올해(4%)보다 소폭 높은 4.1%로 예상된다.
KDI 관계자는 보고서를 통해 ‘최근 발생한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2차 유행의 대처가 원활하지 못해 장기화될 경우 우리 경제의 성장세도 크게 위축될 수 있다’며 ‘반면, 코로나19에 대응할 수 있는 치료제와 백신이 조기에 광범위하게 보급된다면, 서비스업의 부진이 완화되며 경기가 빠르게 회복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과 중국 간의 전면적인 대립이 발생할 경우, 글로벌 경제심리가 위축되면서 한국 경제의 성장세도 제약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