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올해 비즈니스 핵심 키워드로 ‘언택트’가 대중화 하고 있다. 비대면 시대를 향한 사회의 관심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 속, 스타트업은 빛을 발할 기회를 찾았다.
19일, 아시아를 대표하는 스타트업 행사인 ‘GLOBAL STARTUP FESTIVAL COMEUP 2020(이하 COMEUP 2020)이 온라인상에서 개최됐다.
중소벤처기업부의 박영선 장관은 개회사에서 “코로나19와의 사투는 현재도 진행형이다. 하지만 코로나19라는 거대한 공포 앞에서 대한민국은 절망하지 않았다.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K-방역의 중심에는 혁신 벤처와 스타트업의 눈부신 활약이 있었다”라고 했다.
스타트업과 벤처는 전 산업계가 사업 축소 및 일자리 감축을 겪을 무렵, 오히려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올해 상반기에만 약 66만7천여 명의 고용을 낳았다. “대한민국 4대 그룹인 삼성, 현대, LG, SK의 총 고용(69만 명)에 버금가는 수치”라고 언급한 박 장관은 “벤처와 스타트업은 경제 반등을 이끄는 주역으로 자리했다”라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영상 축사를 통해 “한국은 가장 일찍 코로나19의 타격을 받는 국가임에도 불구, 방역 모범 국가로 거듭났다. 일상을 멈춤 없이 이어갈 수 있었던 것 역시 재택근무 및 비대면 교육 시스템 등을 무상으로 제공한 스타트업과 혁신 벤처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우리 모두 함께 COME UP 하자”라고 당부했다.
이날 키노트 스피치 연사로 참가한 컬리의 김슬아 대표(COMEUP 2020 민간위원장)는 ‘코로나19 시대에 대처하는 신선한 아이디어’라는 주제의 발표에서 코로나19로 인해 방역이 강화하며 자연스럽게 외부 활동이 감소한 점을 스타트업이 혁신을 이룰 수 있었던 근간이라고 언급했다.
“‘안 되면 되게 하라’라는 스타트업의 핵심 정신 아래,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맞은 순간에도 한편으로 향후 다가올 미래의 모습을 조금 더 앞당겨 시험해 볼 수 있었던 기회를 맞이했다고 생각했다”라고 말한 김슬아 대표는 “코로나19는 스타트업의 새로운 성장 발판이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직접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라고 했다.
한편, COMEUP 2020은 중소벤처기업부, COMEUP 2020 조직위원회, 창업진흥원 공동 주최 및 주관으로 개최됐다. 오는 21일까지 사흘간 온라인,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