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올 1월 초중순 베이징 인근에 위치한 허베이성과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코로나19 감염이 확산돼 우려를 불러일으켰으나, 1월 하순부터 감염 확산이 진정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하 KIEP)에서 최근 발표한 ‘중국의 최근 코로나19 재확산 현황 및 주요 대응조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정부는 감염지역의 신속한 봉쇄와 대규모 핵산검사를 통해 감염 확산을 저지했다.
이번 재확산은 이전과 달리 지역발생으로 인한 감염과 농촌지역 감염이 많고, 인구 대이동이 이루어지는 춘절을 앞두고 있어서 새로운 방역조치가 요구되고 있다.
한 명의 감염자가 발생한 랑팡(廊坊)시를 포함한 허베이성 3개 도시 전체를 봉쇄했으며, 헤이룽장(黑龙江)·지린(吉林)성 등 주요 감염지역 역시 첫 감염자가 발생한 지 일주일 이내에 봉쇄조치를 했다.
방역의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농촌지역이 방역 리스크로 떠오른 가운데, 춘절 농민공의 귀향이 해외발 바이러스가 농촌지역으로 이동하는 감염 확산의 매개 역할을 하지 않을까 우려되는 상황이다.
중국은 해외 입국자 및 수입물품에 대한 방역 관리를 강화하고, 춘절에 지역 간 이동을 줄이는 다양한 조치를 도입했으며, 농촌지역에는 별도의 방역 강화정책을 발표했다.
베이징, 광둥 등지에서는 해외 입국자에게 기존의 14일 시설격리 이후 추가적으로 7~14일 자가격리 및 건강 모니터링 기간을 갖도록 했으며, 주요 물류기지는 수입 냉동·냉장 식품 전용 창고를 구축해 수입 식품의 방역작업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했다.
춘절 기간 코로나19 중·고 위험지역 주민의 타 지역 이동을 제한하고, 타 지역 출신 노동자가 자발적으로 귀향하지 않고 거주지에서 연휴를 보내도록 취업 기회, 보조금, 소비 쿠폰 및 무료 데이터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농촌지역에서는 음성 판정을 받은 이에 한해 귀향을 허용하는 한편, 모임 인원 수를 50명 이하로 제한하고, 핵산검사·의심환자 보고·접촉자 파악 등 방역 업무가 특정 시간 내에 신속히 수행되도록 규정했다.
중국의 이번 대응조치는 지난해와 달리 매우 적극적이며, 강제적·자율적 조치를 혼용해 춘절 이동 감소를 이끌어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 중 여러 혜택을 통해 자발적으로 귀향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정책은 설 연휴를 앞둔 우리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는 게 KIEP 측의 설명이다.
작년에는 우한 봉쇄조치가 늦게 이뤄졌고, 춘절에도 ‘연휴 연장’ 정도로 수동적으로만 대응하여 감염 확산을 효과적으로 저지하지 못했다.
최근 농민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7.6%가 귀향하지 않고 거주지에서 명절을 보낼 것이라 답해, 중국정부의 정책이 일부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KIEP 관계자는 보고서를 통해 ‘이번 조치가 효과적으로 실시된다면 춘절 기간 중국의 코로나19 확산 완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고, 춘절 이후 공장 조업 재개도 2020년보다 순조로울 전망’이라며 ‘이번 조치로 농민공의 춘절 귀향이 큰 폭으로 줄어든다면 방역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2020년에 춘절 이후 농민공의 복귀가 늦어져 각 공장의 조업 재개가 지연되었던 문제가 2021년에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