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용상황이 1998년 외환위기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심각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연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난해 주요 고용지표를 과거 경제위기 당시와 비교한 결과다.
2020년 경제활동인구는 2천801만2천 명으로 전년대비 17만4천 명 감소했는데, 이 같은 감소폭은 1998년에 이어 두 번째다.
15세 이상 인구가 28만1천 명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로 비경제활동인구가 45만5천 명이나 증가한 영향이다.
2020년 취업자 수는 2천690만4천 명으로 21만8천 명 감소했는데, 이 역시 1998년에 이어 두 번째로 악화된 수치다.
실업자 수도 110만8천 명으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49만 명, 1999년 137만4천 명 다음으로 높다. 실업률은 4%로 2001년(4%)이후 19년 만에 최고로 높았다.
일자리의 질도 악화됐다. 장시간 일자리는 감소하고, 단시간 일자리는 증가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이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2천11만2천 명으로 120만3천 명(-5.6%) 감소해 1998년에 이어 두 번째 감소폭을 기록했다. 반면,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595만6천 명으로 55만4천 명(10.3%) 증가했다.
자영업자의 경우, 규모가 큰 자영업자는 감소하고 나홀로 사장만 증가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37만2천 명으로 16만5천 명(-10.8%) 감소해 1998년에 이은 두 번째 감소폭을 보였다. 반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9만 명 증가했다.
2020년 연령별 취업자는 60세 이상만 증가(37만5천 명)했고, 나머지 연령은 청년(15~29세, 18만3천 명), 30대(16만5천 명), 40대(15만8천 명), 50대(8만8천 명)순으로 감소했다.
연령별 취업자는 2004년 이후 4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해 왔는데, 2020년 50대 취업자(635만6천 명)가 사상 처음으로 40대 취업자(634만6천 명)를 앞질렀다.
2011년 가장 비중이 적었던 60세 이상 취업자(507만6천 명)는 청년 취업자(376만3천 명)를 큰 폭으로 추월하고 30대 취업자(536만4천 명)에 근접했다.
한경연 관계자는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가 지속․확산되고 일부 수출업종을 제외한 기업들의 경영부진이 계속되면서 지난해 일자리 상황이 심각하게 악화됐다’며 ‘고용 개선을 위해서는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규제완화, 경영환경 개선 등 민간경제 활력제고를 통해 지속 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