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고령화가 OECD 37개국 중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2041년에는 셋 중 한 명이 노인인 나라가 되고, 2048년에는 가장 나이든 나라가 될 전망이다. 여기에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2018년 기준 OECD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최근 발표자료를 통해 10년간(2011∼2020년) 한국의 고령화 속도(4.4%)가 OECD평균(2.6%)의 약 2배 가까이로 가장 빠르며, 2018년 기준 노인빈곤율(43.4%)도 OECD평균(14.8%)의 약 3배에 달해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최근 10년간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연평균 4.4%씩(매년 29만 명씩) 증가했다. 이는 OECD 평균(2.6%)의 1.7배로 OECD 국가들 중 가장 빠른 속도다.
한경연이 OECD 통계를 분석한 결과, 급속한 고령화로 2020년 현재 OECD 29위 수준인 고령인구 비율(15.7%)은 20년 후인 2041년에는 33.4%로 인구 셋 중 한 명이 노인이 되고, 27년 후인 2048년에는 37.4%로 한국이 가장 늙은 나라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 속도가 매우 빠른데도 한국 노인 상당수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2018년 43.4%로, OECD 평균(14.8%)의 약 3배에 달해 가장 높은 수준일 뿐만 아니라 G5 국가인 미국(23.1%), 일본(19.6%), 영국(14.9%), 독일(10.2%), 프랑스(4.1%)보다 높았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리나라는 노인들이 매우 곤궁하고, 고령화 속도도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빨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면며 “공공일자리는 근원적 대책이 될 수 없으며, 연금 기능 강화와 민간에 의한 양질의 일자리 제공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추 실장은 “한국도 G5 국가들처럼, 유연한 노동시장과 직무 및 성과 위주의 임금체계를 통해 고령자들에게 양질의 민간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