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스웨덴, EU 내 배터리 산업 리더로 도약하나](http://pimg.daara.co.kr/kidd/photo/2021/03/02/thumbs/thumb_520390_1614678151_71.jpg)
![[카드뉴스] 스웨덴, EU 내 배터리 산업 리더로 도약하나](http://pimg.daara.co.kr/kidd/photo/2021/03/02/thumbs/thumb_520390_1614678156_97.jpg)
![[카드뉴스] 스웨덴, EU 내 배터리 산업 리더로 도약하나](http://pimg.daara.co.kr/kidd/photo/2021/03/02/thumbs/thumb_520390_1614678168_52.jpg)
![[카드뉴스] 스웨덴, EU 내 배터리 산업 리더로 도약하나](http://pimg.daara.co.kr/kidd/photo/2021/03/02/thumbs/thumb_520390_1614678178_36.jpg)
![[카드뉴스] 스웨덴, EU 내 배터리 산업 리더로 도약하나](http://pimg.daara.co.kr/kidd/photo/2021/03/02/thumbs/thumb_520390_1614678193_17.jpg)
![[카드뉴스] 스웨덴, EU 내 배터리 산업 리더로 도약하나](http://pimg.daara.co.kr/kidd/photo/2021/03/02/thumbs/thumb_520390_1614678199_11.jpg)
![[카드뉴스] 스웨덴, EU 내 배터리 산업 리더로 도약하나](http://pimg.daara.co.kr/kidd/photo/2021/03/02/thumbs/thumb_520390_1614678203_40.jpg)
[산업일보]
배터리 산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EU의 움직임이 커지고 있습니다. EU 내 독일, 폴란드, 헝가리, 스웨덴 등에는 15개의 대규모 배터리 공장이 건설 중인데요.
한국무역협회(이하 KITA)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인 'EU의 배터리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에 따르면, 스웨덴은 '지속가능한 배터리 밸류체인 전략'을 중심으로 수요 창출, 금융, R&D, 인력 양성 등의 측면에서 배터리 산업을 이끌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전략을 통해 스웨덴은 향후 10년간 매일 5억 유로를 투자해 재료공학, 제련기술, 전기 시스템, 배터리 팩 구조 및 디자인, 배터리 안전 분야 등에 매년 1천 명의 연구 및 생산 인력을 양성할 계획입니다.
자동차 업계는 2030년까지 자동차의 80%를 전기차로 생산하고, 단거리 비행기 생산업체는 2025년 배터리로 운항이 가능한 비행기를 개발하는 등 운송수단 동력의 배터리 전환을 가속할 예정입니다.
신재생에너지 시장조사 기관인 블룸버그NEF는 2025년 글로벌 리튬이온배터리 공급망 국가별 순위에서 스웨덴이 4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KITA 관계자는 '이러한 긍정적 전망은 스웨덴이 저렴하고 풍부한 신재생에너지 전력, 환경친화적인 정책 수립과 밸류체인 기업의 높은 경쟁력 등을 가진 국가이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미디어 '산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