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을 앞당기기 위해 물류 분야의 친환경 전환에 속력을 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 아셈볼룸 및 온라인에서 ‘친환경 탄소중립 물류 컨퍼런스’가 열렸다.
국토교통부 윤진환 종합교통정책관은 개회사에서 “수송 분야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의 30%를 차지하는 화물차는 탄소중립을 위해 우리가 노력해야 할 핵심 분야 중 하나”라며 정부가 마련한 대책들을 언급했다.
윤 정책관이 밝힌 정부의 대책은 ▲2023년 3월부터 정차·대폐차 택배 차량 친환경 전환 ▲경유차의 단계적 수소화물차 전환 ▲수소차 전환 구매 보조금 및 수소연료보조금 지원 확대 ▲온실가스 배출 저감 장비 및 기술 개발 ▲도로 수송에서 철도 수송으로 전환 유도 등이다.

축사를 맡은 한국교통연구원 오재학 원장은 “수송 분야는 일상, 경제활동, 여객 및 화물 운송산업, 자동차 제조업 등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산업”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경제에 영향이 큰 수송 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9천800만 t(톤)으로 약 96.5%가 도로에서 발생하며, 물류가 수송 부분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정도라고 밝혔다.
오 원장은 “물류의 탄소중립을 위해 화물차의 전기차 전환, 기존 화물차를 위한 바이오 연료 개발, 철도와 연안해운 수송으로의 전환이 절실하다”고 했다.
노후 화물차의 친환경 전환을 위한 지원과 규제, 철도 화물에 대한 지원 기술 개발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탄소중립 전환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을 언급한 그는 “화물 종사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민 물류 서비스의 질도 높이는 정책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날 발표를 맡은 한국교통연구원 김도현 전문연구원은 “영업용 화물차의 친환경 전환은 물류 분야 온실가스 저감과 직결되는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김 전문연구원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영업용 화물차를 연료 기준으로 볼 때 경유차의 비중은 81%로 압도적인 수치를 기록, 물류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전기, 하이브리드, 수소 차량의 비중은 3%에 불과했다.
이어 연구원에서 영업용 화물운전자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친환경 화물차 구매 의향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응답자의 70.7%가 친환경차의 전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지만, 정작 친환경 화물차의 구매 비율은 56.5%로 차이를 보였다. 구매 의향이 인식보다 낮은 이유는 추가 비용 지출 등과 같은 경제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전문연구원은 “영업용 화물차의 구조적 상황과 운전자 인식 수준을 반영한 친환경 정책 방향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규제 정책과 장려 정책을 개선해 화물차의 친환경 전환에 속력을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