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시 빌딩 매매거래량, 2008년 금융위기 수준 ‘13년만에 최저’
이종수 기자|jslee0505@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서울시 빌딩 매매거래량, 2008년 금융위기 수준 ‘13년만에 최저’

기사입력 2022-12-22 13:41:0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서울시 빌딩 매매거래량, 2008년 금융위기 수준 ‘13년만에 최저’

[산업일보]
부동산 하락세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 빌딩 매매거래량의 경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까지 급락했다.

빅데이터 및 AI 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각자대표 정수민, 엄현포)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10월 기준 빌딩 매매거래 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역대급 부동산 한파가 서울시 빌딩 거래 시장까지 덮친 모습이다.

서울시 빌딩 매매거래량 금융위기 수준 폭락
지난 10월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량은 80건을 기록했다. 이는 2008년 9월 리먼브라더스 파산으로 당시 10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4개월 간 88, 50, 69, 61건 등 월 100건 이하의 거래량을 보인 것과 유사한 현상으로 주목된다. 실제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가 공개된 2006년 이후,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 빌딩 매매 건수가 두 자릿수 거래량에 그친 것은 금융위기 당시를 제외하곤 올해 10월이 13년 만에 처음이다.

빌딩 매매 시장은 매년 월평균 최소 200~300여건 이상을 보이며 주거용 부동산 가격 상승과 함께 동반 호황을 누려왔다. 실제, 월평균 거래량이 2016년 360건, 2017년 275건, 2018년 237건, 2019년 236건, 2020년 283건, 2021년 327건, 그리고 올해 상반기만 해도 247건을 유지하다 7월 167건, 8월 155건, 9월 117건으로 점차 축소되더니 급기야 10월에 80건으로 뚝 떨어졌다. 전년 동월 262건 대비해서도 무려 69.5% 하락한 수치다.

강남-서초구 빌딩 매매거래 가장 크게 감소권역별 데이터도 눈길을 끈다. 1년새 매매거래량이 가장 크게 하락한 지역은 GBD(강남구, 서초구)로, 올해 10월 단 15건의 거래만 이뤄졌다. 전년 동월 59건 대비 74.6% 하락한 것으로 서울 3대 업무지구 중 최대 낙폭세를 보인 결과다. CBD(중구, 종로구)는 -71.7%, YBD(영등포구, 마포구)는 -68.4%로 나타났다.

매매금액 감소폭 거래량 대비 상대적으로 낮아
10월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금액은 1조 3천603억 원으로 전년 동월 2조 700억 원 대비 약 34.3% 감소했다. 매매거래량이 69.5% 감소한 것에 비해 매매거래금액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2022년 10월에 성사된 종로타워 매매거래(6천214억 5천만 원)가 반영됐기 때문으로 확인된다. 그럼에도 10월 매매거래금액은 올해 들어 가장 낮은 거래금액(1조 472억 원)을 기록한 전월(9월) 다음으로 저조한 거래금액으로 집계됐다. 구별 매매거래금액은 종로구 6천400억 원, 금천구 2천481억 원, 서초구 955억 원, 동작구 712억 원, 강남구 636억 원 순으로 분석됐다.

꽁꽁 얼어붙은 매매거래 시장… 피스 임대시장은 훈풍
급랭기인 매매거래와 달리 오피스 임대시장은 성황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기준 서울시 오피스빌딩 공실률은 올해 1월 3.62%에서 차츰 감소해 2.31%를 기록했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CBD 오피스빌딩 공실률은 10월 기준 4.06%로 다른 권역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올해 1월부터 지속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 YBD 공실률은 1.35%, GBD공실률은 0.66% 수준이다. GBD 공실률은 5월 이후 소폭 상승하고 있지만 여전히 1% 미만을 유지 중이다.

서울시 오피스 빌딩 전용면적당 비용(NOC) 전월 대비 모든 권역 상승
임대시장에 훈풍이 불면서 서울시 오피스 빌딩의 임대료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실제 서울시 권역별 오피스 빌딩 전용면적당 비용(NOC)은 3.3㎡ 당 19만 5천781원으로 지난달 19만 4천893원 대비 0.5%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GBD의 전용면적당 비용이 20.3만 원/3.3㎡, CBD는 19.3만 원/3.3㎡, YBD는 18.7만 원/3.3㎡ 선을 기록했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GBD와 CBD가 각각 0.6%, 0.5%를 보였으며, YBD는 0.1% 올랐다.

부동산플래닛 정수민 대표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더불어 올해 일곱 차례나 기준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 국내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 시장도 크게 타격을 받아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준의 매매거래량을 보인다”며, "부동산플래닛은 앞으로도 투자자들이 상업용 부동산과 관련된 양질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시장 흐름을 분석해 부동산 마켓 리포트를 제공하겠다"고 전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부동산부 이종수 기자입니다. 지식산업센터, 공구유통상가, 공장, 토지 등 산업 부동산 분야의 알토란 같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