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천억 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가 본격 조성된다.
반도체 생태계 펀드는 반도체 분야 테스트 및 패키지 분야를 포함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팹리스(시스템반도체 및 파워반도체의 설계·제조) 분야에 투자하는 펀드다.
이와 관련한 '반도체 생태계펀드 조성 협약식 및 반도체 금융지원 간담회'가 26일 서울 YWCA 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간담회에 참석한 산업통상자원부 장영진 제1차관은 “정부는 300조 원 규모의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팹리스·소부장 국산화를 위한 신기술 테스트베드로서 첨단반도체기술센터 구축 등의 지원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오늘 출범하는 반도체 생태계 펀드는 최대 3천억 원 규모로 조성된다. 이를 통해 날로 커져가는 국내 기업계의 수요에도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 김소영 부위원장은 “한국이 메모리 반도체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소부장 등 취약한 분야의 경쟁력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라며, 반도체 생태계의 종합 발전을 위해서 반도체 대기업과 정책금융기관, 소부장, 팹리스 협업업체 모두의 노력이 결합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한국성장금융 허정무 대표는 ‘반도체 생태계 펀드 결성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허 대표는 “첫 번째로 조성된 반도체 성장 펀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부터 출자를 받아 2017년 750억원 규모로 조성했고 성장사다리펀드 250억 원을 더해 1천억 원 규모의 출자사업을 진행했다. 총 8개의 하위펀드에 2천438억원 규모로 조성됐고 총 71개 기업에 2천209억원의 투자를 집행해 회수 단계에 있다”라고 그간의 성과에 대해 언급했다.
이러한 투자 성과를 바탕으로 이번에 조성하는 반도체 생태계 펀드에는 삼성전자에서 500억 원, SK하이닉스에서 250억 원을 출자해 750억 원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또한 금융위 정책자금 750억 원(성장금융펀드 300억 원, 산업은행 250억 원, 기업은행 200억 원)과 공동 출자를 통해 3천억 원 이상 규모의 반도체 소부장·팹리스 분야에 투자하는 펀드를 조성하고자 한다고 소개했다.
하위 펀드는 한국성장금융에서 담당할 예정이며, 오는 7월 모펀드 설정 및 위탁운용사 모집 등을 통해 연내 주자집행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반도체 생태계펀드 조성 협약식 및 반도체 금융지원 간담회’에는 삼성전자 허길영 부사장, SK하이닉스 김동섭 사장, DB하이텍 양승주 CFO, 원익QnC 백홍주 대표이사, 실리콘아츠 윤형민 대표이사, 티이엠씨 유원양 대표이사, 한국반도체산업협회 김정회 부회장, 한국성장금융 허성무 대표이사, 한국산업은행 김복규 부행장, 중소기업은행 권용대 부행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