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베트남·멕시코 경유 對美 우회수출…韓 기업 '주의'
김인환 기자|kih271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중국, 베트남·멕시코 경유 對美 우회수출…韓 기업 '주의'

베트남·멕시코 돌아 미국 수출…5년 새 우회수출 규모 2배 늘어

기사입력 2024-05-12 12:19:2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중국, 베트남·멕시코 경유 對美 우회수출…韓 기업 '주의'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으로 제작한 미국-중국 무역 분쟁 이미지

[산업일보]
미국의 무역 제재에 중국이 베트남․멕시코 등을 경유한 우회 수출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6일 발표한 ‘중국의 대미국 우회수출 추이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베트남과 멕시코를 통한 대미 우회수출이 5년 간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의 베트남을 통한 대미국 우회수출은 2018년 15.7억 달러에서 2022년 30.2억 달러로 늘었고, 멕시코를 통한 우회수출도 2018년 53억 달러에서 2022년 105.5억 달러로 증가했다.
중국, 베트남·멕시코 경유 對美 우회수출…韓 기업 '주의'
출처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2018년 미중분쟁 촉발 후 미국의 대중국 수입의존도는 하락했지만, 실제로는 중국이 제3국을 통해 미국으로 우회수출을 지속한 것이다.

베트남을 통해서는 섬유제품, 전기광학장비, 금속제품을 주로 우회수출했고, 특히 2019년 위구르 강제노동방지법 시행 이후 그 규모가 크게 늘었다.

멕시코를 경유한 우회수출은 USMCA(미국, 멕시코, 캐나다 간 자유 무역 협정) 시행으로 미국의 역내 생산 요건이 강화된 2020년 이후 자동차, 철강, 기계류에서 급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나율 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동향분석실 연구원은 ‘베트남과 멕시코에 진출한 우리 기업이 미국 수출 시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 중국 우회수출 규제 가능성이 높은 품목과 산업을 사전에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또한 ‘생산 공정에 수입 원자재나 중간재를 투입하는 경우 미국 수입 기준을 충족하는지 꼼꼼히 살피고, 미국 시장 내 무역규범과 법안을 준수해 신뢰 기반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다아라 온라인 전시관 GO
현장의 생생함을 그대로 전달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