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코트라)의 수출 지원 사업에 참여한 소상공인 수출기업이 미흡한 사후 관리로 수출을 포기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오세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1일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통계청에 따르면 소상공인의 수출 퇴장률이 29.1%에 달한다”라면서 “영업이나 마케팅은 길게 해야 매출로 이어지지만 코트라는 1년만 도와주고 사후 지원은 미흡하다”라고 지적했다.
유정열 코트라 사장은 “1년 이상 지원해야 하지만 많은 기업이 대상이다 보니 사후지원이 미흡해 안타까운 상황”이라면서 “자생적 수출 기업을 다른 분야 사업으로 연계해 참여하도록 하겠다”라고 답했다.
오 의원은 비판을 이어갔다. 그는 “수출 소상공인의 온라인 개점, 마케팅 비용을 합쳐 1억4천만 원을 지원하지만, 정성 들여 홍보해야하는 소상공인에겐 너무 적은 금액”이라고 말했다.
해외 시장에 진출한 온라인 플랫폼과 소상공인을 연계할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짚었다. 오 의원은 “대만에 진출한 쿠팡, 몽골에 진출한 지마켓 등 해외 온라인 플랫폼과 소상공인을 연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유 사장은 “연속적인 소상공인 수출 지원과 플랫폼 연계 필요성에 전적으로 공감한다”면서 “예산을 조금 더 확보하고 플랫폼과 협업을 강화해 소상공인이 더 많은 기회를 얻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