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과 친환경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RE100'의 이행이 국내 기업들의 당면과제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이에, RE100을 기업 단위로 이행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단지 단위로 이행하는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24일 국회에서 열린 ‘재생에너지 활용 및 RE100산단 조성을 위한 정책토론회’의 발표자로 나선 기업재생에너지재단 이준신 이사는 국내의 다양한 사례를 소개하면서 RE100의 산업단지 단위의 적용에 대해 언급했다.
‘RE100 산업단지 조성 방안 및 협력모델 구축’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이 이사는 한국의 RE100 이행제도에 대해 “산업용 및 일반용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중”이라며 “주요 이행수단은 녹색프리미엄과 인증서 구매, 제3자간 PPA, 지분투자, 자가발전 등”이라고 설명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현재 국내 RE100 이행과 관련된 주요 이슈는 ▲녹색 거래 이행수단 활성화 ▲망요금 이슈 ▲보완공급 이슈 ▲정책비용 이슈 등으로 구분된다.
이 이사는 “국내에서 RE100과 관련해 기업이 겪는 애로사항은 재생에너지를 조달하는데 대한 어려움과 재생에너지 공급 부족, 해외요구 증가, 국내외 조달 격차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며 “RE100 기업 중 40%가 한국에서 재생에너지 조달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 와중에 기업의 14.7%는 해외 고객사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에 대한 요구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전라북도와 충청남도 아산, 경기도 등의 예를 들면서 산업단지 활용의 사례를 설명한 그는 “특히 경기도의 경우 과거에는 지붕임대나 투자 등을 통한 수익형으로 태양광 시스템이 이뤄졌지만 최근에는 전기요금 절감이나 재생에너지 사용실적 인정, RE100 이행 등의 소비형으로 이동 중”이라고 분석했다.
이 이사의 발표에 따르면, 현재 호남과 영남 지역에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이 집중돼 지역간 전력수급 편차 심화와 전력망 안전도 저하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대규모 송전망 확충과 함께 디지털 기반의 에너지 신산업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산단 단위의 RE100 도입 시 AI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정밀한 수요예측을 통해 수요피크를 완화시키고 평준화해 궁극적으로는 송전망 운영의 부담을 획기적으로 경감시켜야 한다”고 말한 이 이사는 “이는 에너지를 비롯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 영역의 디지털화 및 데이터 연동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