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뉴스] 공작기계 두뇌 ‘CNC' 국산화 성공](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6/18/thumbs/thumb_520390_1750233756_49.jpg)
[산업일보]
공작기계 등 정밀 기계 제조 장비에 사용되는 CNC는 높은 기술 수준을 요구하기 때문에 그동안 국내 주요 공작기계 제조사들도 대부분 일본산 제품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2019년 일본과의 무역분쟁 이후 이에 대한 국산화에 대한 요구가 진행됐다.
![[포토뉴스] 공작기계 두뇌 ‘CNC' 국산화 성공](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6/18/thumbs/thumb_520390_1750233780_85.jpg)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구원), KCNC,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이하 공작기계협회)는 18일 대전 한국기계연구원에서 '국산 CNC 시스템 시연회 및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
오전 시연회와 오후 성과발표회로 나눠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산학연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해 국산화된 CNC 기술을 직접 살펴보는 동시에, 주요 관계자들과 수시로 소통하면서 궁금증을 해소하기도 했다.
![[포토뉴스] 공작기계 두뇌 ‘CNC' 국산화 성공](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6/18/thumbs/thumb_520390_1750233810_11.jpg)
산업부는 기계연구원을 필두로 20개 이상 관련 기업·연구소·학계를 과제에 참여시켰으며, 위아공작기계(前 현대위아)와 스맥 등 관련 기업들은 성공적인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위해 합작법인인 (주)KCNC까지 설립했다.
![[포토뉴스] 공작기계 두뇌 ‘CNC' 국산화 성공](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6/18/thumbs/thumb_520390_1750233828_59.jpg)
5년 간의 개발 끝에 지난달에는 실제 현장의 오퍼레이터 6인을 섭외해 객관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이들은 가공오차와 표면품질 등 주요 성능 지표에서 선진 CNC와 유사한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했다.
![[포토뉴스] 공작기계 두뇌 ‘CNC' 국산화 성공](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6/18/thumbs/thumb_520390_1750233845_100.jpg)
공작기계협회 계명재 회장은 축사에서 “CNC 시스템은 공작기계 산업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라며 “이번 사업은 단순한 제어 소프트웨어 개발을 넘어, 모션 컨트롤러, 드라이브, 서보모터, 인터페이스, HMI 등 CNC 시스템 전반의 구조를 아우르는 통합적 기술 개발로, 전폭적인 소프트웨어 지원과 신속한 기술지원 체계를 갖추는 것이야말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