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ChatGPT 제작사인 OpenAI가 한국 AI 시장에서의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했다.
OpenAI는 10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 스튜디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 지사 ‘OpenAI 코리아’의 공식적인 출범을 발표했다. 아시아에서 3번째, 전세계 12번째 지사다.
이 자리에서 OpenAI의 제이슨 권(Jason Kwon) 최고전략책임자(CSO)는 한국에서의 향후 추진 방향 및 비전을 소개했다.
제이슨 CSO는 “OpenAI는 AGI(범용 인공지능)가 모두에게 이익이 되도록 하는 것을 미션으로 삼고 있다”라며 “이 미션은 한국처럼 혁신을 선도하는 나라와 긴밀히 협력하지 않고는 달성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오늘 공식적으로 서울 지사 출범을 발표하게 되어 자랑스럽다”라며 “이는 OpenAI 글로벌 확장의 새로운 이정표다”라고 덧붙였다.
한국 AI 시장을 두고는 “한국은 오랫동안 글로벌 기술 강국으로 인정받아 왔고, 최첨단 인프라와 혁신적인 기업, 빠른 수용자라는 독특한 조합 덕분에 AI의 이상적인 허브가 되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더불어 “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AI 도입이 증가하는 시장 중 하나”라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파른 구독자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그 수가 지난해보다 3배 이상 성장했고, API 플랫폼을 활용하는 개발자 수도 글로벌 10위권 안에 든다”라고 전했다.
그는 “그러나, OpenAI 코리아 설립은 단순히 더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함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하며 “한국의 AI 전환을 위한 진정한 파트너가 되는 것이 목표로, 한국 정부의 ‘AI 민주화’ 정책을 지원해 더 많은 사람이 AI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AI 전환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도 소개했다. 우선, 11일 서울대학교와 MOU를 체결해 학계와 연구 협력을 본격화한다. OpenAI와 한국 대학의 첫 협력 사례다.
12일에는 ‘파운더스 데이(Founder Day)’를 열어 스타트업, 개발자, VC를 연결해 스타트업 생태계를 확장하는 네트워킹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오는 11월에는 ‘데브 데이 익스체인지(Dev Day Exchange)’를 개최한다. 개발자, 스타트업, AI 연구자들을 한 자리에 초청해 OpenAI의 최신 기술을 공유한다. 제이슨 CSO는 “이미 활발히 성장 중인 한국 AI 생태계를 지원하는 또 하나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창작자들과의 협력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의 일환으로, 최근 OpenAI의 영상·이미지 도구 활용 워크숍인 ‘크리에이티브 랩 서울’을 진행했다. 21명의 국내 창작자가 참여했고, Sora 모델로 제작된 미디어 아트를 동대문 DDP 외벽에 투사하는 ‘AI 활용 예술 표현’ 사례를 남겼다.
제이슨 권 CSO는 “OpenAI는 한국과의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함께 어떤 성과를 만들어갈 수 있을지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