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지식경제부는 지난 1월부터 8월까지 자동차 판매량 집계 결과, 한-미 양국의 자동차 시장 점유율 비교시 집계 기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고 밝혔다.
생산지 기준 비교 시 한국차의 미국시장 점유율은 4.2%, 미국차의 한국시장 점유율은 0.5%로 한국차의 점유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브랜드 기준으로 비교 시, 한국차의 미국시장 점유율은 9.2%, 미국차의 한국시장 점유율은 9.4%로 대등한 수준을 보인 것.
자동차 판매량 집계 및 발표 기준은 주요국별로 조금씩 상이하며 그간 한국은 생산지 기준, 미국은 브랜드 기준으로 집계해 오고 있다고 지경부는 설명했다.
양국 간 생산지 기준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우선 한국 시장에서 미국차의 경우 GM의 현지공장인 한국GM을 통해 내수 판매의 대부분을 차지(94.7%)하고 있고, 생산지 기준 집계 시 직수입 되는 차량만이 합계되어 상대적으로 한국에서 낮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국차는 대형차 위주로 수입되면서 중·소형을 선호하는 국내 소비자들에게 차종, 가격, 연비 등이 상대적으로 국산차와 타 수입차종에 비해 경쟁력이 저하되어 낮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한국차는 현지생산 차종과 차별화된 수출차종을 투입해 고유가로 인한 중·소형차의 선호 등의 소비자 기호에 대응해 수출을 증가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브랜드 기준으로는 미국내 판매되는 한국차(현대·기아의 미국내 생산 + 수출)와 한국내 판매되는 미국 브랜드 차(한국GM, 포드, 크라이슬러, 캐딜락 등) 균형을 보였다.
지경부는 향후 자동차 판매량 집계와 관련해서 기존의 방식대로 생산지 기준으로 집계하되, 다양한 정보 제공을 위해 브랜드별로 병행하여 발표하는 것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11.9월 국내 자동차 시장은 전년 동기대비 생산 9.4%, 내수 5.1%, 수출 13.7% 증가하여 호조세가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