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국내 대기오염 농도 여전히 선진국보다 높아
김범홍 기자|kbh7289@daara.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국내 대기오염 농도 여전히 선진국보다 높아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2011년 대기오염 농도 조사결과 발표

기사입력 2012-12-04 11:43:2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우리나라의 대기오염 농도가 일부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선진국 평균에 비해 최대 4배 이상 높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주요 대기오염물질 7종(미세먼지,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오존, 일산화탄소, 납, 벤젠)에 대한 2011년 전국 250개 측정소의 자료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1년 전국 미세먼지(PM-10) 평균농도는 50㎍/㎥로 2006년(59㎍/㎥) 이래 지속적으로 감소해 2007년 대기환경기준 강화 후 처음으로 환경기준에 도달했으나 여전히 워싱턴 12㎍/㎥, 런던 16㎍/㎥, 동경 21㎍/㎥, 파리 26㎍/㎥ 등 선진국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지역별로는 증감 추세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7대 도시 중 서울, 부산, 대구, 광주의 미세먼지 농도는 전년에 비해 2~4㎍/㎥ 감소한 43~47㎍/㎥의 분포를 보였다. 반면, 울산은 전년에 비해 증가(48㎍/㎥→49㎍/㎥)했고, 인천은 연평균 농도 55㎍/㎥로 대도시 중 가장 높았다.

과학원은 인천의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높았던 원인으로 도심지 내 인천항, 공업단지, 신도시 개발 등으로 인한 대형화물차 이동의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인천은 1999년 대비 미세먼지 배출량 증가율이 7대 도시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오존(O3) 연평균 농도는 1998년 0.020ppm 이래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1년에는 0.024ppm의 농도를 기록했으며 환경기준 달성률도 여전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오존의 1시간 환경기준 달성률은 59.8%로 48.1%를 기록한 전년에 비해 11.7% 높아졌으나 8시간 환경기준 달성률은 전년에 비해 0.1% 감소한 2.5%로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였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2011년 미세먼지 및 이산화질소 농도는 전국적으로 약간 낮아졌으나 여전히 수도권 지역 및 공단 지역에서 단기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고농도 오존 발생 사례가 지속되고 있다”며 “지역특성에 맞는 대기오염 정책의 수립과 지속적인 연구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