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PEOPLE] 불연속 여과전이 발생 메커니즘 풀었다
강정수 기자|new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PEOPLE] 불연속 여과전이 발생 메커니즘 풀었다

서울대 강병남 교수…‘이달의 과학기술자상’ 5월 수상자 선정

기사입력 2013-05-26 00:04:5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PEOPLE] 불연속 여과전이 발생 메커니즘 풀었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5월 수상자 서울대 강병남 교수(왼쪽)


[산업일보]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폭발적 여과전이 모형을 적용해 고온․고압 등 극한의 열역학 환경에서 발생하는 물질의 상태변화 현상’을 밝혀낸 공로로 서울대학교 강병남 교수( 54세)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5월 수상자로 선정했다.

강 교수는 10여 년 동안 복잡한 시스템을 간단히 표현한 ‘복잡계 네트워크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전이 현상과 동역학 성질’을 연구해 왔으며, 최근에는 억제된 환경 속에서 물질의 작은 조각으로 구성된 클러스트에 대한 ‘폭발적 여과전이 모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상전이 현상의 메커니즘을 하나의 통일된 틀에서 설명하는 연구성과를 얻었다.

그동안 물이 수증기로 변할 때 물의 밀도가 불연속적으로 변하는 현상과 같은 ‘폭발적 여과전이’에 대한 모형은 2009년 이후 세계 여러 연구팀에서 제시했지만, 극한의 환경 속에서 불연속 또는 연속 상전이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과학자는 없었다.

이에 강 교수는 폭발적 여과전이 모형을 좀 더 일반화해 원래 모형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한편, 3차원 공간 및 복잡계 네트워크를 아우르는 하나의 틀에서 상전이 현상을 연구해 불연속 여과전이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했다. 또한 이 연구결과는 최근 사이언스지에 강 교수가 교신저자로 한 논문으로 발표됐으며 미국 수학회가 월간으로 발간하는 MATH in the MEDIA 2013년도 4월호에 주목받는 연구결과(Feature Column)로 소개되기도 했다.

강 교수는 과학인용색인(SCI) 저널에 160여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이 중 복잡계 네트워크 분야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해 그 중 관련분야 상위 1% 수준에 속하는 논문도 포함돼 있다.

발표 논문 중 20여편 이상이 Scienc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USA), Physical Review Letters 등 통계물리학 분야에서 최고 권위 있는 학술지에 게재되면서 논문 인용 횟수가 3,200회를 상회하고, H-index가 29(29회 이상 피인용된 논문이 29편임)에 달하는 등 통계물리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물로 인정받고 있다.

강 교수는 “복잡계 네트워크 분야는 통계물리를 기반으로 탄생된 대표적 융합학문으로 경쟁이 치열한 연구분야지만 공동연구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성공적인 연구성과를 이뤘고 앞으로는 물리학의 영역을 비평형계 및 복잡계로 확장하는 기초적 연구를 수행할 것”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반갑습니다. 산업2부 강정수 기자입니다. 자동차와 부품, 전기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빠른 속보로 여러분들을 찾아뵙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