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중소기업의 절반이 최근 3년간 기술개발, 생산, 마케팅 등의 분야에서 혁신활동을 추진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창조경제시대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추진 실태’를 조사한 결과 ‘혁신활동을 추진한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48.7%, ‘추진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51.3%로 나타나 창조경제의 주역으로 삼고있는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
기업혁신이란 기업이 기술개발, 생산방식, 조직구조나 영업활동 등에서 획기적인 개선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춰나가는 경영활동을 말한다. 전반적인 혁신활동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59.1%가 ‘보통’이라고 답했고, 이어 ‘높다’라는 응답은 32.5%, ‘낮다’가 8.4%로 나타나 혁신 활동 수준도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대한상의는 “중소기업은 기술 미흡, R&D 부족, 인력 부족 등으로 혁신활동의 결과로 볼 수 있는 생산성이 매우 낮은 수준”이라며 “지난 5월 말 스위스국제경영개발원(IMD)이 발표한 중소기업 생산성 순위가 전체 60개국 가운데 55위로 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대기업 생산성의 28%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낮다”고 언급했다.
한편 혁신활동을 추진한 중소기업의 추진 분야로는 ‘기술개발’(37.2%)과 ‘생산’(34.2%)이라는 답변이 많았고, 이어 ‘조직·경영관리’(16.1%)와 ‘마케팅·유통’(12.5%) 등의 순이었다. 회사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준 혁신활동을 묻는 질문에도 ‘기술개발’(40.9%)과 ‘생산’(37.7%)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혁신활동 추진 방법으로는 ‘회사 단독 추진’(50.7%)이라는 답변이 과반을 차지한데 이어 ‘거래기업과의 협력 통한 추진’(18.8%), ‘외부 컨설팅기관 활용 추진’(18.2%), ‘대학·연구소 등 산학연 협력 통한 추진’(12.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혁신활동 추진성과로는 ‘생산성 향상’(46.8%)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비용 절감’(19.5%), ‘조직·경영관리 효율화’(17.5%), ‘매출 증가’(16.2%) 등의 차례였다.
혁신활동을 추진하는 데 있어 애로를 묻는 질문에 가장 많은 기업들이 ‘전문인력 확보’(33.3%)를 꼽았고, 이어 ‘자금 부족’(23.0%), ‘노하우·정보 부족’(22.3%), ‘임직원의 인식 부족’(21.4%)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의 중소기업 혁신관련 정책과제 중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으로는 ‘기술개발 및 생산현장 역량 강화’(33.3%), ‘기술의 사업화 및 시장개척 지원’(23.7%), ‘우수기술인력 양성 및 확보 지원’(17.0%) 등을 차례로 지적했다.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이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 ‘그렇다’(42.3%)라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11.0%)는 응답보다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