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스마트그리드 사업모델 새로운 서비스시장 창출
강정수 기자|new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스마트그리드 사업모델 새로운 서비스시장 창출

제주실증사업 성과 토대로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추진

기사입력 2013-08-24 00:07:4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제주실증사업(‘09.12~’13.5)을 통해 거둔 기술검증과 사업모델 발굴 성과를 민간 주도의 사업화로 연계하는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

그간 제주실증사업을 통해 검증된 사업모델들을 실제 환경에서 구현, 향후 스마트그리드가 민간 주도로 확산될 수 있는 거점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지난 5월 종료된 제주실증사업은 170여개 기업이 참여해 세계 최대 규모의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를 구축하고, 핵심기술 검증, 사업모델 발굴과 사업화라는 긍정적인 성과를 나타냈다.

특히, 수요반응서비스,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 전기차 충전·대여 서비스 등은 확산사업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사업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반면, 지역적 특성, 아키텍처(기본 설계도)의 부재, 제도검증의 한계 등으로 인해 본격적인 사업화와 민간투자 유인 등에는 미흡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확산사업은 제주실증사업의 성과를 십분 활용하되, 노출된 문제점은 제도적으로 보완해 실질적이고 성과 지향적인 사업 추진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이를 위해 사업추진 방식을 단순 지역 선정에서 탈피해, 스마트그리드 확산에 가장 적합한 사업모델 선정에 주력하고 확산사업시 구축될 시스템에 관한 기본 지침을 제공, 스마트 기기·시스템간 상호호환성을 확보키로 했다.

실제 사업화에 필수적인 관련 제도와 법령을 보완해 확산사업모델에 우선적으로 적용해 사업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한편 22일에 개최된 사전 설명회(서울 팔래스 호텔)에 기업, 지자체, 관련기관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지난 12일 스마트그리드 정책간담회에서 윤상직 장관이 표명한 스마트그리드를 본격 추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오는 10월까지 3~4개의 예비사업자를 선정하고, 2014년 상반기까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관련 예산을 확정한 후, 2015년부터 본격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반갑습니다. 산업2부 강정수 기자입니다. 자동차와 부품, 전기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빠른 속보로 여러분들을 찾아뵙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