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산업통상자원부가 실시한 '국내 나노융합산업 실태조사' 결과, 나노융합산업은 매출액 및 고용인원 모두 많이 증가해 국가 신성장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나노융합산업 나노기술을 활용해 나노융합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나노융합제품은 100nm 이하의 크기에서, 인위적 조작을 통해 혁신적인 기능을 창출하는 제품을 의미한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 2012년 나노융합산업 매출액은 총 129조 529억 원으로 2011년 대비 27.3% 증가했으며, 고용인원은 13만 8,256명으로 ‘11년 대비 11.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나노융합산업의 제조업 내 매출액 비중은 8.5%로 2011년(6.7%) 대비 증가했고, 고용인원 비중 또한 5.0%로 2011년(4.6%) 대비 증가했다.
2012년도 나노융합산업 매출액은 총 129조 529억 원으로 2011년(101조 3,969억 원) 대비 27.3%나 뛰었다.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은 2011년 대비 나노 전자(30.1%)가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나노소재(10.0%)도 비교적 많이 증가했으나, 나노장비․기기(△13.4%)는 감소했다.
나노 융합산업 분야별 매출액 비중은 나노전자(90.7%), 나노소재( 7.5%)가 나노 융합산업 전체 매출액의 98.2%를 차지했다.
고용인원은 13만 8,256명으로 2011년(12만 3,588명) 대비 11.9% 늘었다.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고용인원은 2011년 대비 나노전자(12.5%), 나노소재(8.7%), 나노 바이오․의료(8.3%), 나노 장비·기기(2.7%) 모두 상승했다.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고용인원 비중은 나노전자(89.6%), 나노소재(6.2%)가 나노융합산업 전체 고용인원의 95.8%를 차지했다.
나노융합산업 연구개발투자액은 2012년 6조 6,128억 원으로 전년대비(5조 5,450억 원) 19.3% 많았다.
나노융합산업 분야별 투자액 비중은 나노전자가 95.2%다.
나노융합산업의 연구개발 집약도는 5.1%로 제조업(3.09%, 2012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KISTEP)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나노소재부문의 연구개발 집약도는 다른 부문에 비해 1.9%로 낮게 집계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나노융합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술개발․인력양성 등 정책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