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주민 대다수 공중선 정비 도시미관 개선효과 평가 긍정적
오장윤 기자|wkddbs9090@daara.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주민 대다수 공중선 정비 도시미관 개선효과 평가 긍정적

기사입력 2014-07-03 06:31:1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지난해 공중선 정비 완료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중선 정비사업 주민만족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공중선 정비사업은 전국의 공중선(전주 위에 난립된 전력·통신·방송 케이블)을 체계적으로 정비해, 도시미관 개선과 국민생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 1단계(2013~2017년, 5년)에는 인구 50만 이상인 20개 대도시의 공중선을 우선 정비하고, 2단계(2018~2022년, 5년)에는 나머지 중·소도시 지역 정비를 계획하고 있다.

한전 및 방송통신사업자들은 2013년도에 서울 등 인구 50만이상 20개 도시 내 145개 구역에 3,555억원을 투자해 공중선 정비를 실시하고, 정비결과에 대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역주민 200명을 대상으로 한달간 면접방식으로 만족도를 조사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공중선 정비로 도시미관 개선 82.0%(164명) ▲전주전복 등 사고예방에 도움 76.5%(153명) ▲보행환경 개선 73.0%(146명) ▲교통안전에 도움 70.0%(140명) 등의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적으로 “공중선 정비 전과 비교해 정비 후 결과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79%(158명)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내용을 보면 ▲전주에 엉켜있거나 심하게 늘어진 공중선 정비(75.5%, 151명) ▲기울어진 전주 및 노후불량 전력설비 교체(74%, 148명) ▲폐선이나 사선 등과 같은 잘린 공중선 정비(73.5%, 147명) 순서로 정비가 잘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건물에 걸쳐있는 공중선(이하 ‘인입선’) 정비(62.0%, 124명)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돼 인입선 정비방법에 대한 일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비과정에서 주민들은 ▲도로통행·보행불편(29.0%, 58명) ▲영업활동에 어려움(17.0%, 34명) ▲소음 및 잡음 등의 불편(17.0%, 34명) ▲건물출입 또는 댁내방문 불편(11.0%, 22명) 등의 순으로 30%미만의 주민이 정비에 따른 불편함을 지적했다.

이러한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84.5%(169명)의 주민이 공중선 정비사업의 지속적 추진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사업추진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주민들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간의 다양한 홍보활동에도 불구하고 설문조사 응답자중 22.5% (45명)만이 CATV 자막방송 또는 반상회보를 통해 공중선 정비사업을 접했으며, 30%(60명)만이 정비사업을 이해하는데 홍보물이 도움이 됐다고 응답해 보다 실효성 있는 홍보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전과 방송통신사업자들은 2014년도 공중선 정비사업에 3,285억원을 투자해 20개 도시 내 203개 구역을 정비할 계획이며 미래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던 인입선 정비방법을 개선하고, 다양한 홍보활동 전개를 통해 공중선 정비사업에 대한 주민만족도 향상에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