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철강수입단가 하락 지속, 국내 시황 압박
이강은 기자|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철강수입단가 하락 지속, 국내 시황 압박

한국철강협회, 9월 철강수입 동향 발표

기사입력 2014-10-08 03:19:5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철강수입단가 하락 지속, 국내 시황 압박

[산업일보]
9월 철강재 수입은 197만 톤으로 전월 대비 12.9%, 전년 대비 3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117만6천 톤으로 전월비 15.4%, 전년비 56.6% 급증한 규모를 보이면서 전체 수입 증가를 주도(비중 59.7%) 했다.

일본산(67만8천 톤)도 전월비 11.4%, 전년비 10.7% 증가, 전체수입의 34.4%를 차지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누계수입은 1천702만1천 톤에 달했으며 이는 전년비 17.7% 증가한 수치다.

중국산 1천10만 톤(전년비 36.6%↑)으로 올해 사상 최고치가 예상되는 가운데 일본산은 553만 톤(5.3%↓)을 기록했다.

대부분 품목이 전월비, 전년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품목별로는 열연강판(전년비 44.1%), 중후판(75.8%), 강반제품(23.1%) 등 주요 수입품목 증가세가 도드라졌고 이외 국내 공급과잉 품목인 아연도강판(4.9%), 기타도금강판(33.8%), 칼라강판(59.5%) 등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반면, 반덤핑 조사중인 H형강은 4월 이후 지속 감소세, 9월 수입은 전월비 13.1%, 전년대비 32.5% 감소했다.

철강수입단가 하락세 지속되면서 국내 시황을 압박하고 있다.

대표적인 수입품목인 보통강 열연강판 9월 평균수입단가는 전년비 2.1% 하락한 568불(59만6천원)로 2012년 3월부터 31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8월 수입 철강재, 국내 철강시장의 40.1% 분포다.

중국산의 국내 명목소비 대비 점유율은 전년비 4.0%p 증가한 23.4%, 일본산은 2.7%p 감소한 14.0%를 기록했다. 주요 품목별 수입재의 시장점유율은 핫코일 37.1%, 선재 44.4%, 칼라강판 33.7% 등이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