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지난해에 이어 올 상반기에도 원화가치 상승이 이어지면서 우리 수출기업은 매출액 감소가 두드러지는 반면 일본제조기업들의 매출 및 영업이익률이 호조를 보이고 있어 향후 더 큰 영향이 우려된다.
수출기업의 상반기 평균 매출액은 2.5조원, 평균 영업이익은 1,620억 원으로 내수기업보다 각각 6.4배, 10.2배 이상 높았으나, 매출액증가율은 2.2%로 내수기업(2.0%)보다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한국무역협회는 '환율변동과 한일 수출기업 경영지표 비교분석'이라는 무역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업종별 분석에 따르면 2013년은 일반기계, 석유제품, 철강, 섬유 분야 수출기업들의 매출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도 자동차, 전자전기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매출증가율이 가파르게 둔화됐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은 2013년 및 금년 상반기 모두 중소기업에 비해 영업이익률이 양호하나, 매출증가율은 올 들어 점차 악화됐다.
반면, 일본 기업들의 경영실적은 엔화 약세가 본격화된 2013년부터 자동차, 섬유, 화학공업, 일반기계, 철강, 석유제품 등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개선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소비세 인상으로 매출액 증가세가 둔화되고 영업이익률도 마이너스로 전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엔화 약세로 일본 기업들의 가격경쟁력과 수익성 개선이 설비 및 연구개발(R&D) 투자로 이어진다면 앞으로 우리 기업의 수출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크다.
업종별 한일 주요기업 경영지표 비교결과에서도 일본 주요기업은 매출액이 높은 증가세를 보이면서 영업이익도 전반적으로 개선 추세인 반면, 동종업계 우리나라 주요기업의 경영실적은 악화되고 있다. 일례로 현대기아차의 올해 2분기 매출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반면, 토요타 및 혼다의 매출증가율과 영업증가율은 ‘13년 2분기 이후 급속히 호조세로 돌아서고 있다.
보고서는 향후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우리 기업은 물류비 절감, 제조공정 축소, 부품 공통화 및 모듈화 확대 등을 통한 비용 절감 노력과 동시에 연료전지자동차, 에너지절감기술, 소재, 의료, 태양광발전 등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강화가 필요하다. 특히 우리 기업의 기술고도화를 위해 일본 기업과 연구개발 협력을 적극 추진하고 설비투자를 확대함으로써 품질을 개선하고 가격경쟁력을 확보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