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성장 중인 베트남 온라인 시장
중산층들의 인터넷 사용자가 급성장하면서 베트남에서 점차 온라인 쇼핑시장이 대중화되고 있다.
온라인 쇼핑은 2000년 이후에 베트남에 등장했고, 현재는 베트남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산업무역부 산하 전자상거래 및 정보기술원(VECITA)에 따르면, 2014년 베트남 전자상거래는 22억 달러 규모였으며, 1인당 평균 120달러를 전자상거래를 통해 지출됐다.
패션의류, 휴대폰, 조리용 기구, 식품 등이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는 품목이다.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 대한 고객의 충성도는 매우 낮은 편으로, 제품의 가격과 질에 따라 구매 사이트를 수시로 변경하고 있다.
베트남은 온라인 쇼핑시장 성장을 위한 우호적 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베트남은 3000만 명 이상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인터넷 사용자가 베트남 인구의 40~45%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구의 30%가 15~35세로 인구가 전체적으로 젊어 인터넷 활용률이 점차 높아지고, 새로운 트렌드를 빨리 받아들이는 경향이 크다.
오프라인 쇼핑 환경 열악: 오프라인 쇼핑몰 인프라 부족과 교통체증, 주차장소 부족 등으로 인해 오프라인 쇼핑을 위해 투자해야 할 시간과 노력이 많아 상대적으로 온라인 쇼핑의 편리성이 부각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현재 베트남 온라인 쇼핑 핵심 소비자는 대도시에 거주하는 20~40대의 일반 사무직임을 감안해 독특한 지불방식과 배송시스템 운영해 소비자를 공략 중이다. 온라인 쇼핑 배송은 베트남의 가장 대중적인 교통수단인 오토바이를 통해 빠르게 배송하고 있다.
온라인 거래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고, 구매하기 전 물건을 직접 손으로 만져보기를 선호하는 베트남의 소비자 특성을 고려해 고객이 제품을 수령한 후 배송자에게 현금으로 결제하는 방식을 채택, 온라인 구매를 유도하고 있다. Google 조사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 대금 지불방식 중 현금거래 경험이 71%를 차지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에 대한 수요는 크게 증가했으나, 운영회사의 경험 부족,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 제품에 대한 신뢰 부족 등이 온라인 쇼핑시장 성장의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구글에서 진행한 베트남 온라인 쇼핑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 소비자 중 49%는 제품이 모조품이거나 중고품일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베트남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국제품은 타 제품과 비교해 높은 판매량을 보이고 있으며, 이 중 화장품과 식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오프라인 마켓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국 제품과 비교하면 제품 종류는 많지 않으며, 물류시설 및 물품 보관과 같은 기본적인 인프라 시설이 부족해 오랜 기간 쉽게 보관할 수 있는 제품 위주로 판매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