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정전이 발생할 경우 사람이 고장발생 현장에 가지 않고 제어센터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한 데이터를 활용해 고장구간을 원격에서 신속히 판단 및 조작(분리)해 정전을 복구하는 차세대 배전지능화 2단계 계획이 발표됐다.
한국전력공사(사장 조환익)는 27일 한전 본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산업과장, 한국전기공사협회장, 한국전기산업진흥회 부회장 등 산․학․연 관계자 200명이 참석한 가운데 '배전지능화시스템' 1단계 구축완료 기념식을 개최해 배전지능화시스템 개발과 구축에 기여한 유공자 48명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등의 포상을 했다.
'배전지능화시스템'은 정전시간을 대폭 단축해 약 1조3천억 원의 경제적 이득 즉 사회적 정전비용을 절감, 시스템을 자체 개발함으로써 약 1조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거뒀다.
배전지능화 도입 전 고장에 의한 연평균 호당 정전시간은 30분에서 배전 지능화 도입 후 연평균 정전시간이 4분으로 약 87% 단축될 정도로 국민생활 편의와 산업활동에 일조했다.
이날 행사에서 한국전력은 지금까지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차세대 배전지능화시스템'을 구축하는 2단계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현재 운영중인 개폐기의 약 90%인 15만대를 지능화개폐기로 운전하고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판단하고 0.08초 이내에 분리해 건전구간에는 단 1초의 정전도 허용하지 않는 무정전 전력공급 시스템을 개발해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4,710억 원의 사회적 정전비용과 4,890억 원의 회선신설 비용 등 약 1조원의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국전력 조환익 사장은 배전지능화시스템 개발 및 구축 사업에 참여한 중전기업체 대표자들에게 그 간의 노고를 치하하면서, “한국전력은 배전지능화 시스템과 브랜드를 활용한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해 중소기업과 함께 상생해 나가는 생태계 조성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