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차세대 배전지능화시스템, 1조원 비용 절감
강정수 기자|new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차세대 배전지능화시스템, 1조원 비용 절감

1단계 구축 후 호당 정전시간 약 30분→4분으로 단축

기사입력 2015-05-31 10:48:2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차세대 배전지능화시스템, 1조원 비용 절감


[산업일보]
정전이 발생할 경우 사람이 고장발생 현장에 가지 않고 제어센터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한 데이터를 활용해 고장구간을 원격에서 신속히 판단 및 조작(분리)해 정전을 복구하는 차세대 배전지능화 2단계 계획이 발표됐다.

한국전력공사(사장 조환익)는 27일 한전 본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산업과장, 한국전기공사협회장, 한국전기산업진흥회 부회장 등 산․학․연 관계자 200명이 참석한 가운데 '배전지능화시스템' 1단계 구축완료 기념식을 개최해 배전지능화시스템 개발과 구축에 기여한 유공자 48명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등의 포상을 했다.

'배전지능화시스템'은 정전시간을 대폭 단축해 약 1조3천억 원의 경제적 이득 즉 사회적 정전비용을 절감, 시스템을 자체 개발함으로써 약 1조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거뒀다.

배전지능화 도입 전 고장에 의한 연평균 호당 정전시간은 30분에서 배전 지능화 도입 후 연평균 정전시간이 4분으로 약 87% 단축될 정도로 국민생활 편의와 산업활동에 일조했다.

이날 행사에서 한국전력은 지금까지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차세대 배전지능화시스템'을 구축하는 2단계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현재 운영중인 개폐기의 약 90%인 15만대를 지능화개폐기로 운전하고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판단하고 0.08초 이내에 분리해 건전구간에는 단 1초의 정전도 허용하지 않는 무정전 전력공급 시스템을 개발해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4,710억 원의 사회적 정전비용과 4,890억 원의 회선신설 비용 등 약 1조원의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국전력 조환익 사장은 배전지능화시스템 개발 및 구축 사업에 참여한 중전기업체 대표자들에게 그 간의 노고를 치하하면서, “한국전력은 배전지능화 시스템과 브랜드를 활용한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해 중소기업과 함께 상생해 나가는 생태계 조성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반갑습니다. 산업2부 강정수 기자입니다. 자동차와 부품, 전기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빠른 속보로 여러분들을 찾아뵙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