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6월 휴대폰, 반도체 호조로 ICT 수출 증가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6월 휴대폰, 반도체 호조로 ICT 수출 증가

수출 139억5천만 불로 66억7천만 불 흑자

기사입력 2015-07-15 09:00:11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6월 휴대폰, 반도체 호조로 ICT 수출 증가


[산업일보]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상반기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무역수지가 396억2천만 달러를 달성한 가운데, 6월 ICT 무역수지 66억7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0.2% 증가한 139억5천만 달러, 수입은 2.4% 감소한 72억8천만 달러.

세계 ICT 시장 축소와 교역 여건 악화(6월 전체수출 : 전년 동월대비 △1.8%)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휴대폰 및 시스템반도체 등 주력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특히 휴대폰과 반도체,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선전이 눈에 띈다. 휴대폰은 22.5억 달러로 19.4%, 반도체는 53억1천만 달러로 3.0%,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5억8천만 달러로 6.9% 증가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은 20.6억 달러로 12.7%, 디지털 티브이는 3억6천만 달러로 36.0% 감소했다.

휴대폰은 갤럭시S6, G4 등 국내 기업의 전략 스마트폰과 모바일프로세서(AP) 등 부분품 수출 증가로 두 달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했다.

반도체는 D램 단가 하락과 낸드플래시의 차세대 저장장치(이하 SSD : Solid State Disk) 형태 수출 전환으로 메모리 반도체 수출이 감소한 반면, 모바일용 반도체의 후공정 수출 물량 증가로 시스템반도체는 10%이상 증가했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SSD의 기술 우위와 컴퓨터 및 서버의 SSD 채용 비율 증가로 4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해외생산 확대와 중소형 패널 단가하락이 수출 감소요인으로 추정된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유럽연합(EU) 수출은 감소, 중국 등 아시아권 및 미국은 증가했다.

수출 상위 1, 2위 지역이자 국내 업체의 주요 생산 거점인 중국(홍콩 포함) 수출은 74억1천만 달러로 2.7% 증가했고, 아세안(ASEAN)은 20억 달러로 17.3% 올랐다. 이 나라들은 휴대폰 부분품, 반도체 등 부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했다.

미국은 휴대폰과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22.6% 증가, 15억1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휴대폰은 5억7천만 달러로 17.7%, 반도체는 3억5천만 달러, 54.4% 오름세를 보였다.

유럽연합 수출은 경기 부진과 유로화 약세로 디스플레이 패널, D-TV 등 ICT 품목 전반에서 감소했다.

6월 휴대폰, 반도체 호조로 ICT 수출 증가
국가별 수출 추이(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