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장비 부정구매 건수 큰폭 감소, 장비가동률도 10%p 증가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장비 부정구매 건수 큰폭 감소, 장비가동률도 10%p 증가

산업용 연구장비 공동이용시스템 이튜브(e-Tube) 성과

기사입력 2015-09-03 11:20:0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장비 부정구매 건수 큰폭 감소, 장비가동률도 10%p 증가
e-Tube포털(www.etube.re.kr) 및 사용 개념도


[산업일보]
연구개발장비 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하고 필요한 장비는 온라인을 통해 바로 예약하는 e-Tube시스템이 지난 2013년 11월 오픈, 8월말 현재 37만 명이 방문하는 등 지속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복장비 구매차단과 경쟁입찰 등으로 수백억 원의 예산절감 성과도 거두고 있다. e-Tube내 민간렌탈장비는 약 897종 19,871대가 등록돼 있으며 구매보다는 임대를 유도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연구장비 도입심의 강화와 노후장비 이전·재배치로 전체 약 480억원의 예산절감 효과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지난 2011년 개별 연구개발(이하 R&D)전담기관에 분산돼 있던 장비도입심의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구장비관리센터‘로 일원화하고 3천만원이상 장비의 중앙장비심의위원회 심의 및 공개경쟁입찰을 전면 도입했다.

이를 통해 342억원 예산절감 효과와 함께 장비 구매 관련 R&D자금 부정사용건수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부터는 노후장비 이전·재배치사업을 통해 약 143대의 장비를 타 기관으로 이전해 138억원*의 예산을 절약했다.

산업부는 연구장비 도입심의부터 구매·활용·폐기단계에 이르는 장비 전주기에 걸쳐 사용자 편의성 제고를 위해 연구장비 통합관리시스템인 이튜브(e-Tube/www.etube.re.kr)를 2013년 개통했다.

이튜브(e-Tube: equipment-Tube)는 기존 장비 공동 활용 수준에 머물던 인프라넷(InfraNet)을 확대 개편한 것으로 산업계 연구장비 구축·활용의 대표적인 포털 시스템이다.

여기에는 출연연, 테크노파크, 대학 등 범부처 관련 R&D기관들 뿐만 아니라 민간 임대(렌탈)기업까지 포함해 3,449개 기관의 연구·시제품 제작·인증 등에 필요한 장비 약 5만여 대가 구축돼있다.

산업부는 매주 약 5천여명이 이 시스템을 방문해 장비 사용자가 손쉽게 장비를 탐색․활용하게 됨에 따라 공동활용장비 가동률이 크게 개선된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성과를 인정받아 지난해 3.0관련 정부우수사례로 선정됐으며 올 4월 정부 3.0 컨텐츠 박람회에 전시되기도 했다.

이르면 올해 9월부터 조달청 나라장터와 이튜브(e-Tube)를 연계해 외자구매까지 전자입찰 대상을 확대함으로써 장비구매 투명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중앙장비도입심의를 받지 않거나, 경쟁입찰을 통하지 않고 장비를 구매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고 산업부는 덧붙였다.

산업부는 지난해 ‘장비통합관리요령’제정 이후 3천만 원 이상 장비의 도입심의를 받지 않았거나 경쟁입찰을 거치지 않고 장비구매한 건에 대해는 연말까지 재심의 기회를 부여하되, 재심의에서 부결된 장비는 전액 사업비 불인정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그리고 이러한 도입심의나 경쟁입찰을 회피하는 사례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기 위해 중앙장비심의를 통과했거나, 경쟁입찰을 실시한 장비에 대해서만 연구비관리시스템(RCMS)상 사업비 집행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기로 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