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車부품업계, 대중소 동반 마케팅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車부품업계, 대중소 동반 마케팅

미국 시장서 우리 차부품 기업 가격경쟁력 필요

기사입력 2015-10-29 11:47:2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車부품업계, 대중소 동반 마케팅



[산업일보]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의 북미 자동차 부품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수출상담회가 열렸다.

최근 TPP 타결로 미국 시장에서 우리 차부품 기업들의 가격경쟁력 약화가 우려됨에 따라 세계적 완성차 기업인 GM코리아와 우리 중소기업들이 함께 마케팅을 펼쳐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KOTRA(사장 김재홍)는 GM코리아와 공동으로 27일(현지시간) GM테크센터가 위치한 미국 워런시(Warren)에서 상담회를 추진됐다.

행사에는 국내 자동차부품 중소기업 41개사와 GM본사를 비롯한 Ford, FCA 등 주요 완성차·대형벤더 16개사에서 80여명의 담당자들이 참가했다. KOTRA에 따르면 이날 총 140여건의 상담이 성사됐으며, 주요 분야는 파워트레인, 인테리어, 바디 및 샤시 분야다. 특히 GM코리아는 기술력은 우수하나 미국 진출이 저조했던 국내 중소 협력사들과 함께 참가해 대중소 동반 진출에 앞장섰다.

한호산업은 행사에서 글로벌 Tier 1인 A사로부터 5년간 2,500만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입수, 수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본격적인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GM본사에 NVH 고무 부품을 납품해오던 국내업체 DMC는 이번 상담을 통해 스티어링 기어 커버 부품 등으로 납품 제품군을 넓혀 연간 100만 달러 규모의 새로운 계약을 추진하는 등 GM과의 거래를 확대하게 됐다.

美 자동차 시장은 2010년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 중으로 2015년 판매량은 전년 대비 4.1% 증가한 1,710만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4.9% 증가한 1,224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HS 8708 기준). 하지만 올해 9월 우리나라 자동차 부품의 대미 수출은 전년 대비 0.9% 증가한 44억 달러에 그치고 있어, 시장의 호조세에 비해 부진해 우리 기업들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향후 TPP가 발효되면 일본산 차부품 중 80%에 적용되던 2.5%의 관세가 즉시 폐지되는 등 우리 경쟁국이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갖추게 되면서, 우리 기업들은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더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이 필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GM코리아의 김도형 부장(상생협력 담당)은 “앞으로도 KOTRA와 함께 협력업체들의 해외 진출과 동반 성장을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 전했다.

이에 전병제 KOTRA 디트로이트무역관장은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기업들에게 북미 지역으로의 수출 기회를 제공하고, TPP 체결로 인한 경쟁국의 가격 경쟁력 강화에 따른 우리 자동차 부품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 수출 상담회를 개최했다”며, “앞으로도 GM코리아와 협력해 대중소 협력 마케팅으로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