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불황기, 기술수출에 주목하라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불황기, 기술수출에 주목하라

기술개발, 세제혜택 등을 통한 기술수출 확대 필요

기사입력 2015-12-23 13:10:0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불황기, 기술수출에 주목하라


[산업일보]
기술무역 흑자는 제조 강국의 바로미터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기술무역수지 현황에서 한국은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술수출 확대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술수출은 기술료 수입 외 연계시장 선점 등 파급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업입장에서는 EPC 수주, A/S시장 선점 등 고객 life cycle 전반에 걸쳐 수익을 창출하는 마중물 역할을 수행한다.

정부입장에서는 경상수지 안정적 개선, 대-중소 동반성장, 숙련인력 글로벌 고용창출 등 제조서비스 중심의 혁신모델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다.

하지만 불황기 동안 기술도입 기업은 현금유동성 악화에 민감해 이익발생 시에만 도입기술에 대가를 지불하는 성과공유 계약을 선호하는 경향을 띈다. 이는 초기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업황에 따라 사업화 시기를 조절하거나 포기하는 등 다양한 전략옵션을 행사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기술수출기업 입장에서는 성과공유 계약을 통해 고객니즈에 대응해야 하고, 수익안정화를 위해 A/S시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신기술들이 고객확신 부족으로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Pay-perValue’라는 성과연동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시장 확대에 성공해 왔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의 김영훈 수석연구원은 “최근에는 사물인터넷(IoT) 기술로 실시간 제조 A/S모델인 ‘Pay-per-Use’가 확산되고 있다”면서 “EPC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한다면 제조 A/S 시장 진출이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술수출에서 EPC는 제조 A/S시장을 열어주는 중매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EPC사가 수집한 고객 지식자산과 수출기업의 기술개발 및 컨설팅 역량이 결합될 경우, A/S 시장에 대한 지배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김 수석연구원은 “성과공유 모델을 통한 기술수출 확대를 위해 EPC기업, 다양한 솔루션 개발 기업들이 참여한 비즈니스 모델 설계가 중요하다”며 “사물인터넷 기술, 에너지 및 안전솔루션 등이 결합된 제조 O&M 모델, 관련 전문 인력 양성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한 테스트베드 구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정부는 국내 파급효과가 약하다는 이유로 기업의 해외투자 혜택을 축소하고 있지만 기술수출에 의한 로열티나 배당수입 등에 대해서는 세제혜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