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빅데이터③] 빅데이터 핵심 활용 분야 ‘실시간 공장 관리’
김현지 기자|press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빅데이터③] 빅데이터 핵심 활용 분야 ‘실시간 공장 관리’

제조업의 빅데이터 활용 분야와 사례

기사입력 2016-03-28 11:00:3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빅데이터③] 빅데이터 핵심 활용 분야 ‘실시간 공장 관리’

[산업일보]
지난 빅데이터②호에 이어 2014년부터 이미 빅데이터가 전세계 제조업의 대세로 떠올랐음을 SCM World-MESA의 조사를 통해 보도했다. 이번 호에서는 제조업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분야와 사례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겠다.

SCM World-MESA의 조사에서 제조업의 빅데이터 핵심 활용 분야는 ‘실시간 공장 관리 분야’로 나타났다. ‘실시간 공장 관리 분야’ 57%, ‘실시간 공장 일정 관리’ 53%, ‘실시간 공급망 관리’ 42%, ‘제품의 수율/품질 관리 분야’ 40%, ‘수요 패턴 분석’ 37%, ‘실시간 자산 가동 분석’ 23%, ‘실용성과 에너지 관리’ 11%, ‘공장 유휴 설비’ 4%, 기타 2% 순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IoT) 또한, ‘제품 트래킹 및 원격 모니터링 분야’ 60%, ‘공급망 개체 추적’ 46%, ‘기기 간 통신을 통한 공정자동화 개선’ 40%, ‘실용성과 에너지 관리’ 29%, ‘창고 관리’ 23%, ‘공장 안전과 보안’ 22%, ‘공장 유휴 설비’ 6%, 기타 1%가 순으로 활용한다고 조사됐다.

전 세계 많은 제조업 분야의 기업이 빅데이터 관련 분석을 공장과 제조 공정 프로세스 개선에 적용해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다.

한 예로 인텔은 2012년에 이미 제조 공정에서의 비용 낭비를 줄이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도입해 3백만 불의 비용을 절감했으며. 앞으로 몇 년 간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제조 공정 낭비 절감에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총 3천만 불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는 중이다.

또한, 지멘스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장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위해 한화로 약 2천331억 원되는 2억 유로를 투자해 제품 100만 개 중 11.5개 정도로 불량률을 줄였다. 이 불량률은 25년 전의 40분의 1 정도의 수준으로, 생산성은 8배나 증가했다.

지멘스는 매일 쌓이는 5천만 건의 데이터를 분석해 기계 가동 시점과 멈추는 시점 등 최적의 공정은 무엇인지를 판단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오랜 시간 작동을 안 해도 좋다고 판단한 기계의 전원은 자동으로 꺼지고, 컴퓨터가 재가공한 정보는 제품 개발 부서에 통보해 제품 개발 과정을 개선했다.

이렇게 제품이 기획 및 설계되는 단계부터 판매 이후까지 모든 정보를 모아 제조와 생산 효율을 높이는 데 활용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반갑습니다. 산업1부 김현지 기자입니다. 산업 관련 빅데이터(Big Data), 3D프린터, 스마트기계,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인공지능(AI), 웨어러블 기기, 가상현실(VR) 분야 등과 함께, ‘산업인 24시’, ‘동영상 뉴스’, ‘동영상 인터뷰’ 를 통해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