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김현지 기자|press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생체공학적 ‘전자 의수족’

기사입력 2016-05-09 19:12:0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산업일보]
[카드뉴스] 인공 기계장치 ‘전자 의수족’의 놀라운 발전
생체공학적 ‘전자 의수족’

10대 때, 암벽 등반 중 사고로 자신의 두 다리를 잃고, 의족을 직접 설계하고 제작함으로써 전자 의족 10여 개의 특허를 출원한 사람이 있는데요. 바로 휴 허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입니다.

휴 허 교수는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한 인물로 인정받아, 2007년에 하인즈 상을 받았습니다.

그가 팔다리를 자유로이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을 위해 개발하는 ‘전자 의수족’은 스스로 외부 환경을 감지하고, 인간의 근육처럼 작동하는 ‘인공 기계장치’입니다.

허 교수가 개발한 전자 의족은 2013년, 보스턴 테러로 왼쪽 다리를 잃은 댄서 에이드리언 헤이즐럿 데이비스가 착용한 채 춤추면서 화제가 됐습니다. 그는 한 매체를 통해 “내게 그녀의 춤은 전기 기계장치를 통해 세상에 더욱 훌륭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인간애의 진수였다”고 회고한 바 있습니다.

허 교수가 개발한 전자 의수족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인터페이스로 나눠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신경체계와 기계가 소통하는 ‘전기적 인터페이스’ ▲‘기계적 인터페이스’ ▲‘역학적 인터페이스’입니다.

‘전기적 인터페이스’는 착용자의 의지대로 의수족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인공 의수족을 건강하고, 이물감 없는 편안한 방식으로 신체와 결합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역학적 인터페이스’는 마치 살아있는 팔다리처럼 인공 의수족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죠.

허 교수는 앞서 말한 세 가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생체공학적 전자 의수족을 개발했고, 센서를 통해 로봇 팔다리가 감지한 촉감을 뇌로 전달하는 실험에 성공했습니다.

“앞으로 인간과 기계가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의 타고난 능력을 인지·감정·신체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말한 휴 허 교수는 10여 년 안에 생체공학적 의수족이 신체 기능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합니다.

머지않아 내 몸 같은 착용감의 전자 의수족 개발로 팔, 다리의 장애를 넘어서는 날이 오겠네요. 신체 장애 없는 공평한 세상을 위한 희소식을 하루빨리 들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미디어 ‘산소통’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반갑습니다. 산업1부 김현지 기자입니다. 산업 관련 빅데이터(Big Data), 3D프린터, 스마트기계,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인공지능(AI), 웨어러블 기기, 가상현실(VR) 분야 등과 함께, ‘산업인 24시’, ‘동영상 뉴스’, ‘동영상 인터뷰’ 를 통해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