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취업률↑ 인기직종으로 자리매김한 연구장비 전문가
김민솔 기자|mskim@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취업률↑ 인기직종으로 자리매김한 연구장비 전문가

국내 연구장비 구축규모 증가 불구, 기술인력 여전히 부족

기사입력 2016-10-12 09:02:0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취업률↑ 인기직종으로 자리매김한 연구장비 전문가
실험실에서 ICP 연구장비를 다루는 김연정씨

[산업일보]
“1년동안 첨단 연구장비에 대한 교육을 충실히 받아 지금은 어려움 없이 ICP(유도결합플라즈마)를 다루고 있어요”
지난 2015년 1월 미래부의 '연구장비엔지니어양성사업'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시험분석서비스 전문기업인 ㈜켐트레이스에 취업한 김연정(25세)씨의 주업무는 TEM(투과전자현미경), NMR(핵자기공명분광기)와 같은 첨단 고가장비를 다루는 일이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가 시행하는 '연구장비엔지니어양성사업(총괄운영기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 사업수행 4년여 만에 2천50여 명의 고용을 창출하는 등 새로운 인기 취업직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취업률도 4년 평균 85%에 달한다.

2013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연구장비엔지니어양성사업은 이공계 대학(원)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11개 지역 전문교육기관에서 1년간 이론과 연구산업현장 실습이 이뤄진다. 이들이 다루는 첨단 연구장비는 주사전자현미경, X선 형광분석기 등 총 20대다.

지금까지 330여명의 수료생이 배출됐다. 김연정씨를 비롯한 250여명이 유관분야로 취업했고 대학원 진학자 등을 제외하면 평균 취업률은 85%에 달한다.

특히, 지난해 7월에 수료한 제3기의 경우 취업률은 93.8%에 달하며, 이중 정규직이 70.5%를 차지하고 있다.

교육을 마친 전문인력들은 주로 연구소나 민간기업의 장비전문가로 채용되어 연구장비의 운영, 유지ㆍ보수는 물론 시험결과 분석업무도 수행하게 된다.

연구장비가 첨단화, 대형화되면서 앞으로 연구장비 전문인력의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가 지난 7월, 연구장비를 보유·활용하고 있는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장비전문인력에 대한 수요조사 결과, 약 1천700여명의 전문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연구장비 구축규모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운영·관리를 위한 연구장비 기술인력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정부차원의 교육훈련을 통한 체계적인 연구장비 전문인력 양성ㆍ보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미래부는 현재 연간 100여 명 수준인 연구장비 전문인력을 점차 확대하고 교육프로그램도 개편해 나갈 예정이다.

미래부 배재웅 연구성과혁신기획관은 “수준높은 연구개발을 위해서는 고가의 첨단 연구장비를 다루는 능력이 중요하다”며 “교육내용도 민간수요에 맞도록 계속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2부 김민솔 기자입니다.정부 정책 및 3D 프린터, IT, 산업현장 숨어있는 특화된 뉴스를 전해드리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