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프랑스 GDP가 올해 1.4% 성장할 전망이다. 가계소비 및 투자 증가에도 항공기 및 농산물 수출 감소로 경제성장률이 둔화됐지만 올해 수출 정상화로 1.4% 성장이 예상된다.
KOTRA 파리 무역관에 따르면 지난 1일 프랑스경제통계연구원(이하 INSEE)은 지난해 프랑스의 경제 성장률이 1.1%로 지난 10월 INSEE 전망에 미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프랑스 정부가 최근까지 기대했던 1.4%보다는 0.3% 포인트 낮았으며 유로존에서는 이탈리아에 비하면 약간 높았고 유로존 및 유럽연합 평균치에 비해서는 상당히 낮았다.
지난해 1분기 및 4분기 가계소비 및 투자는 2015년 동기 대비 상당히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경제 성장을 이끌었는데 2분기와 3분기에는 여러 가지 악재로 인해 크게 감소해 경제 성장률 1.1%로 지난 10월 INSEE 전망에 미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5월의 파업과 7월의 니스 테러가 관광산업 및 공산품 산업 및 수출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으며 여름철의 이상 기후는 농축산물 수확 및 수출에 큰 타격을 입었다. 그 결과 지난해 GDP는 1분기 0.6%, 4분기 0.4% 성장에도 2분기 -0.1%, 3분기 0.2%의 저조한 성장으로 인해 결국 1.1% 성장했다.
무엇보다 지난해 경제 성장을 둔화시킨 주요인은 무역수지 적자가 증가했다 INSEE는 내수의 GDP 성장 기여도는 1.9로 2015년의 1.3보다 0.6p 높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외무역의 기여도가 -0.9로 2015년보다 0.6p 하락해 GDP 성장률을 거의 절반 수준으로 끌어내렸다.
무역수지 적자 증가의 주요인은 수입 증가가 아닌 수출 감소다. 실제로 지난해 수입 증가율은 3.6%로 2015년의 6.4%보다 2.8%p 감소한 것에 비해 수출 증가율은 0.9%로 2015년의 6%에 비해 5.1%p 감소했다.
수출 감소의 주 요인은 항공기 인도 지연 및 농산물의 흉작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프랑스 관세청 11월 수출 통계에는 항공기가 2015년 11.1% 증가에서 5.5% 감소로 곡물이 6.3%에서 -16.4%로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KOTRA 파리 무역관 측은 “프랑스는 대외의존도가 46%에도 세계 5대 교역국인만큼 무역수지 적자가 GDP 성장에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나 수출의 중요성이 재확인됐다”며 “올해 대선 이후 새 정부도 완화된 노동법의 시행 및 기업 감세를 통한 경쟁력 강화로 해외 시장 점유율 쟁취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프랑스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무역적자 증가로 인해 기대에 미치지 못했으나 기록적인 신규 회사 설립, 높은 기업투자 증가율, 비교적 탄탄한 내수 증가세 등 기초 체력을 갖추고 있어 올해 파업, 테러, 이상 기후와 같은 이변이 없을 경우 관광산업 및 수출이 회복돼 지난해보다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