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CeBIT 키워드, 인공지능·보안·5G·사물인터넷
최시영 기자|magmacsy@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CeBIT 키워드, 인공지능·보안·5G·사물인터넷

독일, 디지털 선도국가로 발돋움 위한 움직임 활발

기사입력 2017-03-18 12:44:2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CeBIT 키워드, 인공지능·보안·5G·사물인터넷


[산업일보]
올해 사무자동화, 정보기술 및 원격통신 전시회(이하 CeBIT)의 키워드는 인공지능(이하 AI), 보안, 5G, 사물인터넷(이하 IoT)이다.

KOTRA 함부르크 무역관에 따르면 올해 CeBIT의 슬로건은 ‘d!conomy’로 기업 생산 프로세스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아이디어가 핵심이다.

CeBIT의 첫 번째 키워드는 AI다. 유럽의 AI 애플리케이션 시장은 향후 10년 안에 80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유럽 AI 애플리케이션 시장은 9천300만 달러에 불과했으나 2025년에는 78억 달러 이상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올해 독일의 AI 관련 스타트업 수는 총 81개로 집계돼 유럽에서 영국에 이은 제2의 AI 중심지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AI 스타트업들은 주로 고객 커뮤니케이션, 이미지 인식, S/W 개발, 마케팅, 헬스케어 분야 등에 분포돼 있다.

두 번째 키워드는 보안이다. 2008년에 20억 유로 규모에 그치던 독일 IT 보안시장은 2015년에 37억 유로 이상을 기록하며 매년 최소 6% 이상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AI를 활용하면 시스템 침입과 관련된 가능한 위협들을 매우 빨리 인지해낼 수 있으며, 기존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위협 제거 프로그램을 가동하면 되기 때문이다.

세 번째 키워드는 5G다. 5G 인프라 수요는 북미와 아시아 지역에서 먼저 시작돼 관련 인프라가 활발히 구축 중이나 서유럽에서는 현재까지 LTE 인프라에 머무는 경우가 많아 전체 통신망 중 약 5%에서만 5G 사용이 가능하다.

독일 교통디지털인프라부는 지난해에 발간한 ‘5G 환경 달성전략’ 보고서에서 2025년까지 독일 주요 20여 개 도시에 5G 환경을 ▲주파수 제공 및 단계별 주파수 대역 증강 ▲5G 통신망 관련 연구 지원 ▲관련 연구소·기업 간 포럼 지속 ▲5G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시연 ▲신속한 5G 롤아웃 허용 등의 포인트로 구축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네 번째 키워드는 IoT다. 독일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2014년 92억 유로 규모에서 2020년 500억 유로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IoT 스마트홈 분야에서는 에너지 관리, 홈 자동화, 보안 등 분야에서 2021년에는 각각 최소 500만 가구 이상의 수요가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독일 최대 IT 솔루션 업체인 SAP사는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해 기기 간, 공장 간 데이터 교환 기술을 업그레이드 했다. 이 밖에 브레멘 대학, 프라운호퍼 연구소 등 각 대학과 기관들 또한 거친 바닥이나 오염된 토양 등 불리한 환경을 감지하고 이를 피해서 작동하는 새로운 로봇 기술을 선보였다.

KOTRA 함부르크 무역관 측은 “독일은 전통적으로 첨단 디지털 산업보다 전통 제조업에서 큰 성과를 보여 왔으나 향후 디지털 선도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며 “독일은 인더스트리 4.0과 관련한 정책들을 2010년대 이후 집중적으로 발표해왔으며, 오는 2025년까지 국가 디지털 전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CeBIT의 파트너 국가는 일본으로 전년 참가 기업 대비 10배가 넘는 120여 개 업체가 출품했다”며 “이들은 환경기술, 생명과학, 소재과학 등 과학 분야에서 협업을 진행했으며 이번 2017 CeBIT에는 음식과 음료를 대접하는 ‘가정용 로봇’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안녕하세요. AI와 로봇에서부터 드론과 사물인터넷 등 첨단 기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을 해 나나가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