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동적 변화 맞은 글로벌 LNG 시장
이인호 산업부 차관, 새로운 기회 창출 위한 혁신방향 제시
“미국, 호주 등 새로운 LNG 공급처가 등장하고 LNG 가격이 안정화되면서 ‘도착지 제한 규정’(Destination Clause) 등 경직적인 계약조건이 완화되는 등 글로벌 LNG 시장이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이인호 차관은 1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6차 LNG 생산국·소비국 컨퍼런스’에 참석, 기조연설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인호 차관은 이 자리에서 한국의 에너지 전환 정책을 소개하고, 글로벌 LNG 시장의 새로운 기회 창출을 위한 혁신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원전의 점진적 감축과 노후 석탄발전 폐지,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한국의 에너지 전환 정책을 설명하고 글로벌 LNG 시장의 역동성과 유연성이 세계 2위의 LNG 수입국인 한국의 에너지 전환 정책이 더욱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차관은 글로벌 LNG 시장을 혁신하고 LNG 수요국·생산국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으로 우선, LNG 거래의 유연성 확대를 통한 시장 효율성 증대를 강조했다.
이 차관은 기존의 경직적인 계약조건 개선→유동물량 증가→지역시장 간 차익거래 활성화를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전반적인 LNG가격이 안정화의 안정화와 LNG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 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글로벌 LNG 시장의 확대를 위해 LNG 벙커링, CNG 차량, LNG 기관차 등 새로운 LNG 수요발굴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술개발 등 생산국·소비국 간 협력이 강화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마지막으로 이 차관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LNG 거래가 이루어지는 동북아 지역의 LNG 허브 조성을 위한 노력을 통한 아시아 프리미엄 해소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부 이인호 차관은 이번 방문을 계기로 일본 에너지자원청장인 쿠사카베 사토시(Satoshi Kusakabe), Shell社의 스티브 힐(Steve Hill) 가스 마케팅·트레이딩 부문 부사장과 각각 별도 면담을 갖고, 양국의 에너지 정책 방향, LNG 협력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올해는 이 차관을 비롯해 히로시게 세코(Hiroshige Seko) 일본 경제산업성 대신, 모함메드 알-사다(Mohammed Al-Sada) 카타르 에너지산업부 장관 등 11개국 정부인사와 파티 비롤(Fatih Birol)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 및 Shell, Total, BP 등 글로벌 메이저 에너지 기업 CEO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