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국내 연구팀이 개발한 초고속 생체 현미경이 상용화에 성공했다.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김필한 교수의 연구팀과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서울대학교 김성훈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초고속 레이저스캐닝 3D 생체현미경(IVM: IntraVital Microscopy)기술을 토대로 아이빔테크놀로지를 창업했다고 20일 밝혔다.
생체현미경은 수많은 세포들 간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생명 현상을 탐구하고 여러 질환의 복잡한 발생 과정을 밝혀내는 차세대 영상장비가 될 것으로 보여진다.
연구팀은 MRI 또는 CT 등 기존 생체영상 기술로 불가능한 장기 내부의 세포를 구별하며, 살아있는 생체 내부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움직임을 3차원으로 직접 관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질병이 몸속에서 발생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한 세포단위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여러 색의 레이저 빔을 이용해 기존의 조직분석 기술로는 불가능했던 살아있는 다양한 세포 및 주변 미세 환경과 단백질 등 분자를 동시에 영상화 할 수 있는 게 김필한 교수팀의 말이다.
이에, 생체 외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로 수집한 가정을 실제 살아있는 생체 내 환경에서 세포 단위로 검증·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바이오제약 분야에서도 이목이 집중 된다. 최근 이 분야의 산업은 단순 합성약물개발보다 생체 미세 구성단위인 세포 수준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면역치료제, 세포치료제, 항체치료제 등 새로운 개념의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에서 목표로 하는 세포·단백질과 주입된 물질의 움직임을 동시에 3차원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다”며, “현재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과 함께 차세대 신약개발을 위한 핵심기술로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중”이라 언급했다.
이어 김 교수는 “이 기술은 다양한 생명 현상을 보다 정밀히 종합 분석하기 위한 원천기술이다”라며, “고령화 사회에서 글로벌 바이오헬스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차세대 의학 기술을 가속화할 핵심 기술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전했다.
한편, 김 교수가 창업한 회사는 시장성과 성장 가능성을 크게 평가받아 벤처기업으로서는 이례적으로 이른 시일 안에 LB인베스트먼트와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로부터 3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KAIST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