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산림재해 앱' 운영…산불·산사태 정보 및 신고 기능 통합
재해현장에서 실시간 재해 상황 조회·공유 가능해 산림재해 업무 시 큰 도움 기대돼
최근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화재에 국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산림청은 4일 정부대천정사에서 산림재해 통합관리체계 구축 사업의 최종보고회를 갖고 본격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앞서 산림청은 2014년 임상도(나무지도)·항공사진 등 산림공간정보를 이용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림재해 통합관리체계 운영을 시작한 바 있다.
이 날, 산림청을 비롯해 지자체, 한국임업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등 35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림재해 통합관리체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산림공간정보 데이터를 공동으로 활용하는 기능을 개편하고 통합관리체계에서 재해별 상황 파악을 위한 시스템으로 연계하도록 했다.
그동안에는 산불상황관제, 산사태정보, 산림항공정보 등이 개별적으로 운영됐으며, 신고를 하려면 '산불신고 앱', '산림훼손 신고 앱' 등을 각각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그러나 이제 '스마트 산림재해 앱'으로 통합해 본인 위치의 산불위험 정도, 산사태 위험 예측, 일출·일몰 시각 등을 확인하고 산불 및 산림훼손 관련 신고를 할 수 있다.
아울러,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위치 정보를 산불상황관제시스템에서 산사태와 산불 발생 지역을 산사태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기능을 더했으며, 재해현장에서도 실시간으로 재해 상황을 조회·공유할 수 있도록 해 산불진화 등 산림재해 업무 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산림청은 전했다.
또한, 국가위기관리센터, 행정안전부의 국민재난안전포털, 119 신고정보 등과 연계하는 것은 물론, 전국 지방자치단체도 시스템도 이용 가능하도록 했다.
산림청 신재희 정보통계담당관은 "국민의 행복과 안전을 위해서 신속한 산림재해 대응체계를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해 지능형 산림재해 안전 관리체계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