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중견기업 비전 2280’ 중견기업 5천500개사로 확대
김혜란 기자|hyeran6329@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중견기업 비전 2280’ 중견기업 5천500개사로 확대

오는2022년까지 신규 일자리 13만개 창출, 수출 중견기업 비중 50%

기사입력 2018-02-06 06:18:3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오는 2022년까지 매출액 1조원 이상이며 혁신역량이 우수한 중견기업인 ‘월드챔프 1조 클럽’ 80개가 육성된다. 중견기업 수는 5천500개로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는 ‘중소→중견’으로의 성장을 저해하는 각종 규제․제도를 개선하고, 지역거점 중견기업 50개 육성, 수출 중견기업 비중을 50%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혁신형 중견기업 중 하나인 네패스를 방문한 자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견기업 비전 2280’ 세부 이행계획을 발표했다.

워크숍에는 일진글로벌, 아모텍, 신성이엔지, 더존비즈온, 마크로젠 등 10여개 중견․강소기업이 참여했다. 이날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한국산업기술진흥원, KOTRA, 한국무역보험공사, KDB산업은행 등 중견기업 유관기관간 '중견기업 혁신성장 MOU' 체결식도 진행했다.

백운규 장관은 “향후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고, 청년이 가고 싶은 양질의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성장주체로서 혁신적 중견기업 육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강소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혁신형 중견기업을 육성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조속히 마련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중견기업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혁신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우리 경제의 허리로써, 우리나라가 산업경제의 활력을 회복하고 1인당 국민소득 4만 불 시대로 진입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업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독일, 일본,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중견기업 수 및 고용 비중이 낮으며, 내수·소규모 중심, 대기업 의존적 성장으로 해외시장 개척, R&D 투자 등 자체혁신 역량이 부족하고 글로벌 경쟁력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산업부는 지난해 9월 이후 3개월간 중기부, 공정위, 특허청 등 7개 관계부처와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한국산업기술진흥원, KOTRA 등 유관기관 및 학계, 업계 등 총 90여명으로 구성된 ‘중견기업 정책혁신 범부처 TF’를 운영해 기존 중견기업 정책을 전면 재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제조업체에서부터 정부 정책이나 동향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