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한국, 아시아지역 스마트시티 표준화 주도
정수희 기자|edeline@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한국, 아시아지역 스마트시티 표준화 주도

기사입력 2018-06-20 19:29:3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공공서비스의 융합 거점(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같은 스마트시티의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아시아 국가가 한국을 중심으로 뭉쳤다. 아시아지역 최초의 '지역표준화기구' 설립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0일 부산에서 일본,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태국, 사우디, 아랍에미리트(UAE), 호주 등 아시아지역 9개국 표준화 전문가를 초빙, ’제1회 스마트시티 아시아지역 표준포럼‘을 개최했다.

지난해 11월 당정주도로 열린 ’4차 산업혁명 국제표준포럼‘의 후속조치로 열린 것이다.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의 표준화 논의를 위해 아시아 지역에서 국제 표준포럼을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스마트시티 관련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한 기반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국내 관련 기술의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이번 포럼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 위원회 산하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 김갑성 위원장과 국제표준화기구(ISO) 스마트시티 인프라 분과(TC268/SC1) 요시아키 이치카와(Yoshiaki ICHIKAWA) 의장이 기조 연설에 나서, 스마트시티의 성공적 이행을 위한 추진 정책과 국제표준화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김갑성 위원장은 우리나라의 스마트 도시재생 뉴딜 정책 및 세계적 수준의 국가 시범도시 조성 방안을 발표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표준화가 선행돼야 함을 강조했다.

요시아키 이치카와 의장은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인프라 관련 국제 표준화 프로젝트 추진동향과 표준화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진행된 표준포럼 패널토론(좌장 연세대 이희진 교수)에서는 ‘표준을 통한 스마트시티’라는 주제로 아시아 지역 초청인사 등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포럼 참석자들은 ‘교통, 에너지, 환경, 복지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가 융합되는 플랫폼’인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의 대표 사례이며, 스마트시티에서 다양한 기술과 시스템이 하나로 융합돼 동작하기 위해서는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했다. 표준화 활동에서 경험한 장애요소를 공유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참가국간 정보교류, 표준화 공동연구, 국제표준화기구(ISO, IEC) 공동 대응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눴다.

허남용 국가기술표준원장은 “국내 기술이 국제표준을 선점할 수 있도록 표준 연구개발(R&D) 투자 등 정책적‧재정적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하고, “이번 포럼을 앞으로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 수출 대상국이 참여하는 국제 표준포럼으로 정례화하고, 스마트시티 표준화에 대해 국제적 논의를 주도하는 거점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국내외 로봇산업과, IoT, 4차 산업혁명 등 다양한 산업동향과 참 소리를 전합니다. 또한 산업전시회 등의 분야와 함께 ‘영상 뉴스’ 등의 콘텐츠로 독자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