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폭발적 성장
이겨라 기자|hj1216@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폭발적 성장

충전설비 산업, 중고차 유통, 배터리 회수 등 유망 산업으로 부상

기사입력 2018-07-26 11:39:4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폭발적 성장

[산업일보]
중국은 신에너지자동차에 대한 직접적인 정부보조금 지원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이나 판매량은 급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 2017년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체계적인 재정 보조와 신규 번호판 발급 우대, 도로 주행규제 예외 등의 인센티브 조치로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은 2015년부터 3년 연속 세계 최고를 기록했다.

이처럼 매년 50% 이상의 폭발적 성장을 보이고 있는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한국 기업들의 적극적인 기술개발과 투자, 현지 기업과의 협력전략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무역협회 상해지부가 발표한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79만4천대와 77만7천대로 전년대비 각각 53.8%, 53.3% 대폭 증가했다. 신에너지 자동차가 전체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2.7%, 2.6%에 불과해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산업으로 평가됐다.

중국 정부는 신에너지 자동차에 대한 직접적인 보조금 지원 정책을 점차 축소해 나가는 반면, 간접적인 지원 방안을 체계화 시키고 있다. 2017년 9월 발표한 ‘쌍(雙)포인트 정책’을 보면, 내년부터 연간 자동차 생산·수입량이 3만대 이상인 기업은 일정량의 신에너지 자동차를 의무적으로 생산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신에너지 포인트를 타 기업으로부터 구매해야 한다.

또한 올해까지 신에너지 자동차 기업의 외자 출자비중 제한을 철폐하고, 자유무역시험구 내 외자 기업의 합자기업 수 제한 취소 등 규제완화 정책이 잇따를 예정으로 중국 시장 진입이 더욱 용이해질 것으로 관측된다.

베이징, 상하이, 선전, 광저우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신에너지 자동차 신규 번호판 발급 우대, 짝홀제와 같은 도로주행 규제 미적용 등 지방정부 정책도 신에너지 자동차의 판매량 증가에 일조를 하고 있다.

중국 유니콘 18위 신에너지 자동차 기업 웨이마(WM)의 루쥔 부총재는 무역협회와의 인터뷰에서 전통적인 연료자동차의 시대는 이미 끝나고 있으며, 환경보호·에너지 절감 등을 생각하는 젊은 소비층을 중심으로 신에너지 자동차의 판매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루 부총재는 “한국 기업이 중국의 젊고 트렌디한 신에너지 자동차 기업과의 합작, 신규 조인트벤처 설립, 쌍포인트 관련 협력 등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면서, “중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 방향에 주목하고 장기적인 생산·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라고 덧붙였다.

무협 상해지부 서욱태 지부장은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의 급성장에 따라 충전설비 산업, 중고차 유통, 배터리 회수 등 관련 산업도 유망산업으로 부상할 것”이라며, “한국 기업도 중국정부의 자동차 관련 정책을 집중 모니터링 해 신에너지관련 핵심 기술개발 및 투자, 다양한 사양의 부품 연구·개발(R&D)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국제산업부 이겨라 기자입니다. 전자, 기계, 포장산업 등 중화권 소식과 전시회 소식을 발빠르게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