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4차 산업혁명은 국방 및 안보의 패러다임을 바꿔놨다. 실생활을 넘어 전장 환경에까지 첨단화 바람이 불고 있는 현재, 첨단 전력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세계적인 국방 강국으로의 도약을 꾀할 때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4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의원과 미래통합당 신원식 의원 공동 주최,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의 토론회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첨단전력 구축 방안’이 열렸다.
행사를 주최한 신원식 의원은 “408년 전 오늘인 1592년 8월 14일은 한산대첩의 대승을 거둔 날이다. 당시 조선 수군은 일본 수군에 비해 양적으로 아주 열세했음에도 불구, 거북선, 판옥선 등의 과학적인 군사 기술과 이순신 장군의 전략적인 병술로 대승을 거둘 수 있었다”라며 “현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들어선 지금 이 순간 다시 한번 그때의 상황이 되풀이 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첨단 전력’은 아직 그 어느 국가도 제대로 발을 들이지 못한 미지의 영토다. 아직 두드러진 선두주자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한국에도 여전히 선두를 잡을 기회가 있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초지능, 초연결, 초융합을 핵심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은 국방력 제고의 가능성을 무한으로 넓혀준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위험을 사전에 탐지 및 식별할 수 있는 시스템부터, AR·VR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상시 실전형 훈련을 통한 전투력 향상 등도 모두 첨단 기술이 전력 강화에 적용될 수 있는 방향에 해당한다. 자율인공지능기반 감시정찰체계, 초연결지능형 지휘 및 통제, 유무인 복합전투 수행 등 미래 군사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ADD를 포함한 업계는 관련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날 발제를 맡은 국방과학연구소 제1기술연구본부의 박종승 본부장은 북한 및 미국, 일본 중국 등 주변국의 미사일 개발 동향을 소개하며 미사일 개발에 있어서 첨단 기술이 행하는 기여에 대해 제시했다.
박 본부장은 “광자레이더와 양자레이더에 관한 연구는 장거리 및 스텔스 표적의 탐지 및 정밀 추적 능력을 증대하기 위해 진행 중”이라며 “이를 통해 정밀 타격 능력을 확보하고, 육상 및 해상, 방어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라고 했다.
“강력한 국방력은 방어와 공격, 억제 전략 사이의 균형에서 비롯된다”라고 언급한 박 본부장은 “전략 미사일 개발과 첨단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세계 수준의 미래 국방력을 지니기 위해 행해야 하는 핵심 요소”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