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테슬라는 한국시간으로 23일 새벽 열린 배터리데이를 통해 전년대비 올해 차량인도 대수 30~40% 증가와 TWh 스케일의 배터리 생산, 배터리 셀 단가 절감 방안들에 관해 언급했다.
유안타증권의 ‘테슬라 배터리데이의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의 관심은 단연 배터리와 관련된 분야에 집중됐다. 일론 머스크는 2022년 100GWh, 2030년 3TWh 규모의 배터리 생산 내재화할 것이라 언급했으며, 배터리 셀 단가 절감 방안들에 대해서는 셀 디자인 측면에서의 Tabless 형태의 46800 (46mmX80mm)크기의 원통형 배터리와 셀 제조공정 측면에서의 건식전극 공정기술을 제시했다.
아울러, 셀 소재 측면에서의 실리콘 음극재(Tesla Silicon), 니켈 극대화 양극재 (Cobalt 최소화), 배터리 팩 측면에서의 지지체로서의 역할 등을 언급하며 2022년까지 56% 수준의 제조단가 절감도 함께 언급됐다.
이번 배터리데이의 시사점은 2022년 이후 발생할 수 있는 글로벌 배터리 공급 부족 가능성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테슬라가 제시한 100GWh 배터리 내재화는 현 글로벌 M/S 1위 LG화학의 생산능력과 맞먹는 수준으로 약 2년 사이에 자체 개발한 제조설비와 신규 공정(건식전극 공정 등) 등을 적용해 100GWh 생산 라인을 구축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상징적 수치일 가능성이 높으며 배터리 공급 부족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실제로 일론 머스크는 배터리데이 행사 중 부족한 배터리 공급능력이 EV 시장 확대의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수차례 언급했으며, 전일 트위터를 통해서도 2022년 배터리 공급 부족 가능성과 함께 기존 배터리 공급사들(LG화학, CATL, 파나소닉)로부터 주문량을 늘릴 것을 언급했다.
유안타증권의 김광진 연구원은 “이번 배터리데이가 국내 배터리 밸류체인의 중요도를 상승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단. 테슬라의 배터리 직접 생산과 셀 단가 절감 계획을 놓고 국내 배터리 밸류체인의 역할 축소와 배터리 시장 잠식으로 해석하는 것은 매우 단편적인 시각”이라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테슬라의 배터리 직접 생산과 셀 단가 절감은 오히려 글로벌 완성차 시장 내 EV 생태계 확장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트리거가 될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며, “이에 따른 국내 배터리 밸류체인의 실적 성장 속도도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