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세계 경제는 주요국의 경기 부양 기조가 이어지면서 극심한 침체에서 벗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국가 간·지역 간 회복세는 차별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글로벌 차원의 성장 모멘텀은 강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인 '2021년 경제·금융시장 전망'을 통해 이러한 상황에서 실물·자산시장의 괴리와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따른 경기 둔화 위험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헸다.
미국 경제는 완만한 회복을 지속할 것으로 보이는데, 정부의 메인스트리트 지원에도 영구 실업자가 급증해 고용시장과 소비의 회복은 더딜 것으로 예상된다.
한 달여를 앞둔 미국 대선은 경기 모멘텀 자체보단 세부 방향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되며, 내년 미국의 경기 모멘텀은 재정정책이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이 보고서는 연준의 정책 여력이 제한된 상황에서 추가부양책이 1조 달러 미만의 작은 규모로 시행된다면, 미국의 회복세가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유로존의 내년 경제는 올해 급락에 따른 반작용과 봉쇄 조치 완화로 반등이 예상된다. 다만, 코로나19 대응 재정지원이 축소되고 취약계층의 고용 여건이 악화함에 따라 소비가 위축돼 경기 회복에 제약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일본의 경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둔화했던 소비심리와 경기지표가 개선되며, 스가 신임 총리가 230조엔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추진하는 등 경기 여건에 긍정적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이나, 그 회복세는 미약할 전망이다.
이는 기업의 수익성 악화로 인한 설비투자 여력 축소, 재정정책의 한계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는데, 보고서는 지난 5월 1인당 10만 엔씩 지급된 일본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의 58%가 저축돼 소비 진작 효과는 30%를 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중국은 미국과의 갈등뿐만 아니라 주변국의 비우호적 대외환경에도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 부양, 자립형 경제체제 구축을 지속해나가며 경기 반등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러한 중국의 빠른 회복세 가운데, 건설 및 운송 등 전통 인프라 투자에 대한 쏠림 현상은 지방정부의 채무부담을 가중해 부채 리스크를 확대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신흥국은 대내외 건전성 악화와 낙후된 의료체계 등으로 코로나19 충격에 취약하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각국의 방역 및 정책 여력에 따라 회복세는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아세안 국가 중에서도 베트남은 수출과 해외 투자가 증가하면서 양호한 성장이 예상되는 반면, 인도네시아는 코로나19의 충격 여파와 대외건전성 악화로 회복이 더딜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