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년들의 교육 수준이 OECD 37개국 중 최고 수준인 것에 비해, 고학력 청년 실업자가 유독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2009년부터 2019년까지 OECD 국가의 청년(25세~34세) 고등교육 이수율과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평균 청년 대학졸업자(이하 대졸자) 실업률은 2009년 5%에서 2019년 5.7%로 0.7%p 악화됐다. 반면 OECD 국가들의 평균 청년 대졸자 실업률은 2009년과 비교해 2019년 0.8%p 개선됐다.
2009년부터 10년간 청년 대졸자 실업률이 증가한 국가는 OECD 국가 중 한국을 포함한 8개 국가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가 폭은 그리스(7.0%), 터키(1.7%p), 덴마크(1.5%p)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청년 대졸자 실업률 순위는 2009년 OECD 국가 중 14위에서 지난해 28위로 14계단 하락했다. 청년 대졸자 실업률 순위는 실업률이 낮을수록 순위가 높다. 이에 비해 한국의 청년 고등교육 이수율은 2009년 60.6%인 이후 줄곧 1위를 차지했으며 지난해 69.8%를 기록했다.
대졸자 고용률 역시 최하위권으로 조사됐다. 2009년 한국의 청년 대졸자 고용률은 10년 전에 비해 2019년 2.5%p 올라 76.4%였으나, OECD 내 순위는 동 기간 35위에서 33위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 대졸자 중 구직을 포기하거나 취업 준비 등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비율이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경연 측은 설명했다.
한국의 고학력 청년실업이 심각해지는 원인은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으로 분석된다. 한경연 관계자는 이에 대해 '고학력을 요구하거나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증가 속도가 대졸자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대졸 청년실업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사회·경제적 인적 자본 손실이 심화할 수 있는 만큼 규제 완화, 노동시장 체질 개선 등을 통해 민간의 고용 창출 여력을 개선하고, 산업계 니즈를 반영한 교육 커리큘럼 등 산학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